25년 뒤 일본의 도시 절반이 사라진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상태바
25년 뒤 일본의 도시 절반이 사라진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 허성배
  • 승인 2015.11.09 15: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허성배 논설위원

잃어버린 20년을 극복하기 위해 안간힘을 써온 일본 사회에 최근 큰 충격을 준 보고서가 발표됐다. 총무 장관을 지낸 ‘일본 창성회의’ 좌장 “마쓰다 히로야”가 발표한 보고서는 현재의 인구감소 추세대로라면 2040년 일본의 절반에 해당하는 896개의 자방자치단체가 소멸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어 충격적이다.
일본은 이미 2008년을 기점으로 인구가 감소세로 돌아섰다.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2010년 1억 2,806만 명이던 인구는 2050년에 9,708만 명, 2100년에는 4,959만 명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불과 한 세기만에 인구가 절반이하로 줄어드는 것. 사회가 인구수를 유지하기 위한 출산율을 ‘인구 치환 수준’이라 한다. 일본의 현재 인구 치환수준은 2.07명이지만, 실제 출산율은 1.43명에 그치고 있다. 이런 심각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인구 감소대책은 주로 ‘고령화’에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마쓰다 보고서’를 보완하고, 그간의 논문을 재구성해 발표한 이 책은 고령화보다 더 심각한 문제로 ‘인구 이동’을 꼽는다. 전일본의 인구가 도쿄를 비롯한 대도시에 집중되는 ‘극점(極點) 사회’가 되면서 인구 감소가 더 가속도를 얻는 ‘인구의 블랙홀 현상’이 일어날 거라는 설명이다. 그가 가장 심각하게 보는 것은 인구 문제의 열쇠를 쥔 20~39세 여성 인구의 분포다. 이들 인구의 사회적 증감은 지역별 편차가 극심했다. 도쿄지역은 약 30%, 오사카와 나고야시는 10%, 후쿠오카시는 약 20%가 사회적 증가한 반면, 그밖에 지방권에서는 거의 모든 지역에서 최대 80%까지 사회적 감소를 보였다. 문제는 인구 조밀 지역 일수록 생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로 인해 출산율이 더욱 낮아진다는 점. 도쿄의 2013년 출산율은 전국 단위보다 현저히 낮은 1.13명에 그치고 있다. 지방은 쇠락하고 대도시권에만 고밀도 환경에서 생활하는 사회에서는 고령화의 속도가 급격히 빨라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일본은 설상가상으로 후쿠시마 방사능이 전 일본영토의 70%이상이 이미 세슘오염되어 벌써 그 기형적 증후가 나타나고 있으며 앞으로 10년안에 100만 명이상 사망할 것이라는 예측이다.(오늘 부터라도 한국인들은 캐나다나 호주 정부처럼 일본 여행을 자제하고 일본에서 위장 수입된 생선 젓갈류. 특히 생선회는 절대 먹어서는 안 된다고 한다.) 일본은 2000년대 이후 엔화 강세에 따른 제조업의 타격, 공공사업 감소 등으로 지방의 경제와 고용 상황이 극도로 악화됐다.

젊은층은 지방을 떠나 도쿄권으로 이동을 시작했다. 대도시라고 매력적인 고용 환경이 조성된 건 아니지만, 고령자를 포함한 인구 감소로 지방에선 소비 침체까지 진행됐다. 일자리를 찾아 인구는 도시로 몰려들고 있는 것이다.


이미 지방의 소멸은 진행중이다. 지방에서 대도시권으로의 인구이동은 1954년부터 2009년까지 약 1147만명에 이른다. 이 인구는 대부분 젊은층이었고, 지방의 인구 감소는 속도가 매우 빨라졌다. 인구 이동이 진정되지 않는다면, 2040년 20~39세 여성인구는 50% 이하로 감소하여 일본의 행정구역은 896개 자치단체, 즉 전체의 49.8%에 이른다는 결과가 도출된다. 홋카이도와 도호쿠의 80%, 시코쿠의 65%가 소멸 가능성  도시가 된다. 도쿄권조차도 28%에 달한다. 심지어 인구가 1만명 이하로 떨어질 도시의 수도 523개로 전체의 29.1%에 달한다. 저자는 자연적 감소에 사회적 감소가 상승작용을 일으키는 이 모습을 마치 일본 전체 인구가 도쿄를 비롯한 대도시로 빨려들어가 지방이 소멸할 것만 같다고 묘사한다.

2차 세계대전이후 선진국의 주요도시 인구 변화를 보면 도쿄의 점유율만이 현재까지고 30%에 육박할 만큼 끊임없이 상승하고 있는 일본 특유의 문제이기도 하다. 이책의 전반에 걸쳐서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국가 전략을 세워야한다고 주장이 이어진다. 결혼, 임신, 출산, 육아에 대해 일관되고 강력한 지원이 필요하며, 대도시권 인구유입을 억제하는 인구 재배치가 필요하며, 외국의 인재를 적극적으로 확보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특히 지방은 고용을 창출하기 위해 대학과 기업을 유치하고, 젊은이들의 유출을 적극적으로 막아야한다고 조언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고령화사회 문제와 다각적인 저출산율 방지책 등을 일본을 반면교사로 삼아 정부는 도시집중 인구분산 정책 등 100년 앞을 내다보는 다각적인 대책을 심각하게 세워야 할 것이다.

마스다씨에 따르면 인구 감소는 병에 비유하면 만성질환 같은 것이다. 쉽게 치유할 수 는 없지만 초기에 체질을 개선할수록 효과가 높아진다는 설명이다. 2030년 출산율을 기적적으로 2.1로 회복한다고 가정하더라도 일본 인구가 9900만명으로 안정되는 시기는 지속적인 인구 감소 이후 60년 뒤인 2090년에야 찾아온다. 출산율 회복이 5년이 늦어지면, 인구는 300만명이 적은 9600만명에 머물게 된다. 육아 환경 문제 뿐 아니라 결혼 연령이 높아지는 현상과 젊은층의 소득감소도 일본의 출산율을 저하시키는 큰 원인이다. 저자는 이민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대안에 대해서는 매우 부정적이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