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세월호 아픈 매듭 풀리나
상태바
돌아온 세월호 아픈 매듭 풀리나
  • 서윤배 기자
  • 승인 2017.03.23 18: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양 초읽기, 미수습자 수색 객실직립 방식 무게… 선체 보관 등 과제 산적
▲ 세월호가 침몰 1073일 만에 처참한 몰골로 우리 앞에 모습을 드러냈다. 23일 전남 진도군 동거차도 앞바다 세월호 인양 현장의 재킹바지선 사이로 선체 우측면이 모습을 드러내 인양업체 상하이샐비지 관계자들이 고박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 오른쪽은 지난 2014년 4월 16일 침몰하는 세월호의 모습. <사진=서해해경본부 제공>

1073일 만에 세월호가 모습을 드러냈다.

23일 오전 3시45분게 스태빌라이저로 추정되는 세월호 선체 일부가 수면에서 육안으로 보이기 시작한데 이어 오전 4시47분께 본체가 드러났다.

세월호가 물 밖으로 완전히 나와 목포신항에 거치되더라도, 남은 과제가 적지 않다.

가장 큰 문제는 미수습자 수색 방식을 두고 아직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정부는 실종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객실 부분을 일부 잘라내 똑바로 세워 수색 작업을 벌이는 방안을 검토했다.

그러나 일부 유족들이 "객실을 분리할 경우 사고 원인에 대한 진상 규명이 어려워 진다"며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내기도 했다. 이에 정부는 선체를 최대한 보존하는 방향으로 선회했다.

해양수산부는 세월호가 눕혀진 상태에서 객실 구역만 분리해 바로세운 뒤 수색 작업을 벌이는 '객실 직립방식'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날 인양을 시작으로 세월호의 침몰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 작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앞서 검찰은 세월호 침몰 원인은 과적과 급격한 방향 선회가 원인이라고 결론 내렸지만, 의혹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또 지난해 특별조사위원회가 세월호에 제주 해군기지로 가던 철근 270여 톤이 실렸다는 사실을 공개하면서 침몰 원인에 대한 의혹이 불거졌고, 세월호에 있던 노트북에서 국정원 지적사항 파일이 발견되면서 불거진 이른바 '국정원 개입설'역시 한 때 주목받았다.

여기에 잠수함 충돌 등 외부 충격설까지 제기돼 각종 의혹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같은 탓에 침몰 원인에 대한 각종 의혹을 해소할 법적 장치 마련과 함께 선체 조사위의 활동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선체 조사위 활동 기간은 6개월 이내로, 필요할 때 1회에 한해 4개월 이내 범위에서 한 차례 연장할 수 있다.

선체 조사위는 세월호 선체 조사를 비롯해 자료와 물건의 제출 명령, 동행 명령, 참고인 등 조사, 고발 및 수사 요청, 감사원 감사 요구 등을 할 수 있다.

또 선체 인양 지도·점검과 미수습자 수습, 유류품 및 유실물 수습 과정 점검, 선체 처리에 관한 의견 표명 등을 할 수 있다.

이와 별개로 실종자 수습과 조사를 마친 뒤 세월호 선체를 어떤 방식으로 보관할지도 문제가 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핵심 부품만 떼어내 보존하는 방안 등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