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학점제, 내년 수능 개편 이후 추진해야"
상태바
"고교학점제, 내년 수능 개편 이후 추진해야"
  • 전광훈 기자
  • 승인 2017.12.10 17: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장 교원 "입시 개선·인력 확보가 우선" 우려 목소리

교육부가 지난달 27일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계획을 발표하고 2022년 도입을 위한 로드맵을 밝혔다.
당장 내년부터 연구·선도학교를 지정해 운영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수능개편안 발표가 예정돼 있는 상황에서 고교학점제를 먼저 적용하는 것이 맞는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교육부 방안에 따르면 학점제 도입에 필요한 교육과정과 학교 운영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연구·선도학교를 지정해 운영한다. 내년 100개교를 운영할 예정이다.
이와 연계해 정책연구추진과 종합계획을 2020년까지 마련하고 2022년까지 현장 의견을 거친다는 계획이다. 연구학교에는 매년 4,000~5,000만원의 운영비와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필요할 경우 시설도 마련해준다.
그러나 현장 교원들은 대입제도와 같이 맞물려 있는 정책과 연계가 매끄럽지 못할 경우, 부작용만 노출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A고 교장은 “당초 수능을 개편하고 고교학점제를 도입하려 했는데 수능개편이 1년 연기되면서 고교학점제를 먼저 적용하게 된 상황이 됐다”며 “학생들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능처럼 고교학점제도 1년 연기하는 것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B고 교사도 “대입이 현실인 상황에서 과목을 선택하게 한다면 결국 대입에 유리한 과목을 전략적으로 선택할 수밖에 없다”며 “쏠림 현상이 나타나는 등 고교 정상화라는 제도 도입과는 먼 결과를 낳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수강신청 프로그램 등 인프라 부족도 걱정되고 있다. 과목이 늘어난 만큼 교실이 더 필요하고, 학생들의 대기교실 등도 필요한데 현실적으로 쉽지 않기 때문이다.  
C사립고 교사는 “사립의 경우 시설이나 교사 수급에서 상대적으로 어려움이 따른다”며 “현재도 기간제 교사나 강사 등을 구하기 어려운 상황인데 고교학점제가 시행된다면 인력난은 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탓에 교육여건 조성과 내신평가, 대입제도, 도농격차 등 사전에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한 만큼 점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일선 현장 교사들은교사와 시설 확보, 평가체제와 대입제도 개선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현장 혼란이 없도록 추진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이에 교육부는 온라인 교육과정과 순회교사제 활성화, 연구학교당 1명씩 교원 증원, 농산어촌 지역 고교교육과정 운영, 유휴 공공기관 활용방안 검토 등을 대안으로 밝혔다.
향후 연구·선도학교 운영과정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이나 현장의 우려 등을 해결할 구체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시 되고 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