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페서로 병드는 대학
상태바
폴리페서로 병드는 대학
  • 전광훈 기자
  • 승인 2018.01.07 17: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수들 내각 진출에 학습권 침해… 선거철 줄서기·양다리 규제해야

우리나라 정치 형태가 민주주의가 아닌 정당정치 색이 짙어지면서 선거가 교수들에게는 소위 ‘장날’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현실 정치에 참여하는 이른바 ‘폴리페서’가 많아지면서 대학이 제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폴리페서(Polifessor)는 현실 정치에 관심을 두고 자신이 이룬 학문적 성취를 발판삼아 입신양명을 꾀하는 교수를 말한다.
이는 전국적인 형태로, 전북에서도 총선이나 지방선거때마다 어김없이 특정 후보를 향한 교수집단의 지지선언이 나타나고 있으며, 교육감 선거에는 교수들이 직접 후보로 나서는 게 일반화 되고 있다.
이러한 부류의 교수들은 과거에도 없진 않았으나 18대 국회의원선거를 기점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문재인정부에서도 교수들이 장관으로 혹은 청와대 수석으로 발탁됐다. 표면적인 이유로 그들이 성취한 학문적 소양과 전문성을 현실에 접목하고 사회발전을 도모함에 있다고 내세운다.
그러나 실상은 폴리페서의 긍정적인 요인이 부정적인 요인을 초과하지 못하고 있다. 다시말해 이들 다수가 교육보다는 정치판에 더 관심을 두고 행동하고 있다는 뜻이다. 이는 전문성의 한계를 두고 나온 말이다.
교수의 대부분은 한 분야의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다. 연구한 분야의 폭이 깊을 뿐 반드시 넓지만은 않다. 학교행정에서도 조교가 있어야 행정업무가 가능한 경우도 있다. 이러한 교수들이 폴리페서가 돼 한 조직의 기관장이 됐을 때 불러 올 혼선은 불보듯 뻔하다.
더 큰 문제는 학계에서 국가권력이 견제의 대상이라기보다는 친근한 유착의 대상이기 때문에 유독 ‘폴리페서’가 정치 바닥에 판을 치고 있는 상황이다.
대학 역시도 정치가들과 가까이 있는 게 장점이 되고 있어 폴리페서들이 비판받기는커녕 소속 학교에서 ‘대접’을 받는 게 현실이다.
대형 프로젝트를 따올 수 있는 ‘시혜자’로 부상돼 소속 학교에서 ‘대접’을 받는 것이다.
이 때문에 대학가에서는 ‘어용’ 지식인, ‘반체제’ 지식인이 늘어나면서 대학에서 지성은 사라지고 이념 결투장으로 변했다는 비아냥이 나오고 있다.
이와 함께 교수들이 정치 주변을 서성이면서 먹이 감을 찾는 웃기는 풍토가 대학에 만연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한 대학 교수는 “학술과 정책이 이념적으로 오염되고 정치적으로 왜곡되는 가운데 많은 대학교수가 관변 프로젝트에 재미를 붙여 ‘지식 장사꾼’으로 전락하고 있다”며 “진리를 추구하는 학문 전당 대학에서 포퓰리즘이 ‘집단 지성’이라는 그럴듯한 이름으로 성행하고 있다”며 안타까움을 토로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