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닫힌 공간서 생활밀착형 공간으로 확 바뀐다
상태바
도서관, 닫힌 공간서 생활밀착형 공간으로 확 바뀐다
  • 뉴스1
  • 승인 2019.01.23 17: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기남 "각 부처·지방정부 독려해 정책 실천할 것" 2023년까지 1468개관 목표…공공도서관 확충

도서관이 책 읽고 공부만 하던 폐쇄적인 공간에서 다양한 체험과 원하는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생활밀착형 서비스 공간으로 새로 태어난다.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위원장 신기남)는 23일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9~2023)을 발표했다.

신기남 위원장은 "2007년 위원회가 발족된 뒤 10년 동안 위축돼 있었다"면서 "작년 4월 취임했는데 위원회가 제 역할을 담당하는 원년으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위원회는 도서관이 공동체 소통의 장으로서 개인의 삶을 바꾸고 우리 사회를 변화시켜 나갈 수 있도록 △사람에 대한 포용성 △공간의 혁신성 △정보의 민주성을 핵심가치로 설정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개인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도서관', '공동체의 역량을 키우는 도서관', '사회적 포용을 실천하는 도서관', '미래를 여는 도서관 혁신'을 전략방향으로 삼고 구체적인 과제을 수행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우선 인문·문화·예술·체험프로그램과 소통·토론형 사회적 독서 프로그램을 늘리고 도서관 활용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디지털 정보 서비스를 확대한다.
특히 도서관 이용자별 생애주기에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학교와 대학도서관, 전문도서관 등 이용자에 대한 연구와 수요조사에 기반해 도서관서비스를 개발하고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해 이용자 맞춤형 추천(큐레이션) 정보서비스를 확대한다.
또 지역 주민의 수요 충족을 위한 서비스를 보급하고 도서관과 지자체 간 공동협력 사업 등을 통해 지역대표도서관의 역할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소실 우려가 있는 다양한 공동체의 자료를 보존해 미래세대에 전해주기 위한 전산화(아카이브) 체계을 구축한다.
정보복지를 실현하고 도서관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공간 개방 방안도 마련했다.
군인·환자·수용자·장애인 등 특수 환경 이용자들을 위한 도서관 기반시설(인프라)을 개선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개발할 계획이다.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휴식공간, 카페 등 개방 공간을 지속적으로 늘리고 지진, 한파 등 각종 재난시 도서관이 안전한 공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서관 서비스를 혁신하기 위해 인력 충원 및 사서 재교육을 진행하고 범부처 차원의 도서관 정책기구로서의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의 역할도 높일 계획이다. 아울러 국립중앙도서관과 지역대표도서관을 연결하는 국가 도서관 협력체계 구축, 남북한 도서관 교류·협력 방안 마련, 국제교류 강화 등을 통해 국내외 도서관 협력체계도 강화한다.
또 2023년까지 1468개관을 목표로 공공도서관을 확충하고 이용자 맞춤형 장서도 국민 1인당 2.5권으로 늘릴 계획이다. 2017년 공공도서관은 1042개관으로 장서수는 2.03권이다.
신 위원장은 "정책은 세우는 것보다 시행과 집행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각 정부부처와 지방정부를 독려, 협력해 정책을 실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