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랏빚 첩첩 쌓여가는데 ‘세금 잔치’ 지속하겠다는 문 정부의 속셈
상태바
나랏빚 첩첩 쌓여가는데 ‘세금 잔치’ 지속하겠다는 문 정부의 속셈
  • 허성배
  • 승인 2019.05.21 13: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허성배 주필
문재인 대통령이 16일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재정이 중장기 구조 개선뿐 아니라 단기 경기 대응에도 역할을 해야 한다”라며 적극 재정 기조를 지시했다. 저성장과 양극화, 일자리, 저출산·고령화 등 문제 해결을 위해 과감한 지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러잖아도 문 정부 출범 후 나랏돈 씀씀이는 부쩍 커졌다. 올해 470조 원 슈퍼예산도 모자라 6조 원대 추경 카드를 꺼냈고, 내년엔 500조 원 시대가 열릴 거라고도 한다.
출범 후 일자리에만 77조 원을 퍼붓고 있지만, 경제 주축 제조업과 30·40대 고용은 뒷걸음이다. 지난 1분기 성장률은 마이너스로 돌았다. 그런데도 소득주도 성장은 계속 끌어안은 채 나라 곳간만 더 열겠다는 것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이날 ‘정부가 지출을 늘려 수요를 지탱하는 방식은 구조적 변화를 끌어내는 정책이 아니다’고 한 것은 정책에 대한 근본적 문제 제기다. 저성장의 진단도 처방도 모두 틀렸다는 취지이기 때문이다.
문 정부의 소득주도 성장에 대해선 지지했던 학자들조차 ‘생산론이 부족한 것이 맹점’이라는 자성론을 내놓고 있다. KDI가 주목한 것 역시 생산성이다. 금융·노동·기업활동 등의 낡은 시스템으로 생산성이 떨어진 것이 성장률 하락의 주범이라는 지적이다. KDI만이 아니라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기구도 줄곧 노동·규제 개혁을 주문해왔다.
2020년대 1%대 성장에 그칠 수 있다는 KDI 경고는 흘려들을 수 없다. 재정이 적기에 적소에 쓰이면 더할 나위가 없다. 그러나 버스 준공영제 확대 카드에서 보듯 혈세 쓰는 데 거리낌이 없다. 세금을 더 걷고도 모자라 국채까지 발행해 흥청망청 잔치를 계속하겠다는 셈이다. 이미 여비 타당성 면제, 생활 SOC 등 수십조 원에 이르는 지출을 예고했다. 총선을 앞두고 어떤 포퓰리즘 지출이 더 쏟아질지 겁난다.
정부는 “재정이 건전한 편”이라지만, 국가채무 증가 속도는 이미 빨간불이다. 올해 들어 세수마저 내리막이다. 나랏돈을 막 쓰는 것도 문제인데, 엉뚱하게 퍼부어 헛돈이 되게 하니 더 심각하다.
그뿐만 아니라 탈원전 정책의 폐해가 예상보다 더 빨리 더 심각한 양상으로 닥치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3년 뒤 물러나면 그만이지만, 탈원전 피해는 다음 정권은 물론 다음 세대까지 미친다는 점에서 국가에 죄를 짓는 일과 다름없다.
한전이 지난 14일 발표한 1분기 연결기준 실적 6,299억 원 영업적자는 1년 새 5,023억 원 커진 것으로, 어닝쇼크 수준이다. 1분기 기준으론 1961년 창립 이후 최악(最惡) 적자이고, 자회사를 뺀 한전 자체의 영업 손실은 2조4,114억 원에 이른다. 한전 수익은 문 정부 출범 이후 줄곧 내리막이다. 2017년 4분기 적자 전환한 뒤 지난해 3분기를 제외하면 매 분기 적자행진이다. 부채도 3월 말 121조여 원으로 3개월 만에 7조 원 넘게 급증했다. 뉴욕증시에도 상장된 한전은 2016년 12조 원 넘게 영업흑자를 기록한 세계 최고(最高) 수준의 우량 에너지기업이었지만, 부실기업으로 추락하는 중이다. 탈원전을 공식화한 2017년 6월 19일 4만2,050원이던 한전 주가는 지난 14일 2만6,850원으로 거의 반 토막이 난 이런 상황에서도 누구하나 책임질 사람이 없다.
한편 20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정부의 내년 예산안이 최초 500조 원을 돌파할게 확실시된다. 국가채무는 780조 원을 웃돌아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이 40%를 처음으로 넘어서게 될 전망이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