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만 달러가 국민행복의 ‘바로미터’ 아니다
상태바
3만 달러가 국민행복의 ‘바로미터’ 아니다
  • 전북연합신문
  • 승인 2019.12.19 17: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민국이 세계 속의 경제대국으로 발전하기 위해 군사독재라는 인권침해 시간을 거쳐야 했다. 혹자는 어찌됐건 새마을운동을 통해 이처럼 발전했던 점은 인정해 줘야 한다고 말한다.
물론 국가와 민족은 발전해야 한다. 국내 1인당 국민총소득이 3만 달러를 돌파했다고 한다.

과연 1인당 3만 달러의 행복을 누리고 있는가에 대답은 묘하다. 산업이 발전하면서 이웃의 경계는 무너졌고 민족의 아름다움 ‘미풍양속’도 잊어져가는 것은 산업과 연관이 있다.
과거 70-80년대만 해도 마을단위 전통놀이를 해왔고 김치가 담장을 넘나들며 이웃의 정을 쌓아 왔다. 또한 동네 어르신을 마주하면 그냥 지나치지 못하고 반드시 인사를 해야 했다.
어르신들의 제일 무서운 호통은 ‘너의 아버지가 누구냐’였다. 이처럼 이웃 간 사랑과 관심으로 이웃사촌이었고 물자는 부족했지만 친환경적인 음식을 먹고 살아 지금의 100세 시대를 맞았다. 도덕이 땅에 떨어졌다고 한다. 대학입시는 입시위주로 내몰리고 기술입국의 실현은 물건너 가는 것  같다. 기술교육을 통해 ‘자아’를 발견한다.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 생기면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이 다르다. 부정에서 긍정으로 바뀌는 것이다. 소득이 있어 봉사도 하고 나눔도 실천한다.
세계여행을 하노라면 대한민국의 발전상에 놀란다. 민족의 긍지를 느낀다. 하지만 인간의 상관관계가 무너지면 강력범죄가 발생하고 인간관계가 형성되지 못한다. 세상살이가 각박하다는 것이다. 이웃주민이 고독사로 굶어죽어 가는데도 모른다. 철저한 개인주의이다.
예를 들어 여자가 길거리에서 담배를 피우는 것은 성인이면 누가 지적할 수 없다. 하지만 민족의 관습과 풍습에 의해 절제했고 지적을 했지만 지금은 사정이 다르다는 것을 실감한다.
국가 인성교육의 부재이고 부실이다. 무한경쟁에서 생존경쟁만 했지 더불어 잘사는 교육은 없었다는 방증이다. 국가에서 내세우는 지표가 산업부문에 치우친다.
도시별 범죄발생과 청소년교육 유치원부터 소비자교육과 환경교육을 거쳐야 몸에 익숙해질 것이다. 아무리 ‘복고풍’으로 돌아가다 해도 유행의 환경에서 벗어날 수 없고 한 번 건너간 근본적인 민족정기는 되돌아 올 수 없다. 중동지역이나 북유럽사회를 보면 전통사회를 지향하고 산업발전에 따라 ‘미풍양속을 잊지 않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경주하는 것을 경험한다.
지금부터라도 한국사의 전통을 바탕으로 인정 많은 사회를 거듭날 수 있도록 교육의 일정부분 즉, 친족관계 및 예절, 공중도덕, 질서유지 등에 더 많은 교육시간을 채워야 한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