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예술 미래를 열어가는 목요국악예술무대-국악관현악 여흥(餘興)
상태바
전통예술 미래를 열어가는 목요국악예술무대-국악관현악 여흥(餘興)
  • 송미숙 기자
  • 승인 2020.06.16 18: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8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명인홀서 개최

 

전라북도립국악원(원장 차주하) 대표적인 상설공연 ‘2020 목요국악예술무대」 상반기 마지막 무대로 ‘여름을 여는 국악관현악 여흥(餘興)’을, 6월 18일 저녁 7시30분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명인홀에서 준비했다.
전통음악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음악적 깊이를 더하고, 시대를 반영하는 창작 작업과 다양성을 추구해 나아가는 관현악단(단장·지휘 권성택)에서 마련한 무대이다. 관현악과 아쟁, 피리, 대금 협주곡 등으로 흥겨운 우리가락과 국악기의 다양한 음색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관현악 선율로 여름날의 아름다운 추억을 선사할 것이다. 

 /편집자주

 

이번 무대는 총 다섯 개의 곡으로 구성했다.
▲첫 번째 무대는 ‘관현악 ‘얼씨구야 환상곡’(작곡/김백찬)’이다. 이 곡은‘09년부터 서울 지하철 환승역 안내방송 배경음악으로 사용돼 대중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으며, 현재는 수도권 전체 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장구의 자진모리장단에 맞춰 대금과 해금이 주선율을 연주하고 가야금이 반주하는 흥겨운 곡이다.
▲두 번째 무대는 ‘아쟁 협주곡 ‘이연(離緣)’(개작 초연, 작곡/이정호)’이다. 떠날 이(離), 인연 연(緣)으로 헤어질 수밖에 없는 인연에 대해 노래한 곡이다. 이번 공연은 개작 초연무대로 원곡에 시간적 의미를 음악적으로 더욱 밀도 있게 그려내고자 타악기를 통해 시계 초 소리를 표현하는 등 시간에 따라 어쩔 수 없이 헤어질 수밖에 없는 사람의 연(緣)에 대한 애절한 심정을 아쟁의 구슬픈 선율을 전한다. 관현악단 강택홍 단원의 깊이 있는 해석으로 한편의 드라마를 보는듯한 감동을 선사할 것이다.
▲세 번째 무대는 ‘거문고 독주곡 ‘만추금’(구성/이태백, 편곡/윤화중)’이다. 이태백이 연주한 철가야금 ‘중모리, 살풀이’를 윤화중이 거문고에 맞게 편곡한 곡이다. 시김새가 많고 섬세한 것이 특징이며, 장구보다는 징으로 반주했다. 관현악단 위은영 단원이 무대에 올라 풍성한 거문고의 멋과 여유를 전하고자 한다.
▲네 번째 무대에는 ‘피리 협주곡 ‘창부타령’(작곡/박범훈)’이다. 창부타령은 원래 노랫가락과 같이 서울·경기지역 무가(巫歌)에서 광대귀신을 불러서 노는 소리였으나, 이후 속화(俗化)돼 민요로 많이 불리고 있다. 서울, 경기지역 피리의 독특한 선율과 음색을 잘 표현했으며, 특히 다양한 전조와 변청 가락을 통해 재미를 더한 곡이다. 관현악단 이재관 단원이 무대에 올라 흥겨운 무대를 선보인다. 

 

▲다섯 번째 무대는 ‘대금 협주곡 ‘원장현류 대금산조’(작곡/이화동)’이다. 원장현류 대금산조는 한일섭의 음악적 영향과 원장현의 풍부한 음악적 토대로 해 만들어진 가락으로 대금의 저음이 일색으로, 잔잔한 선율에서 폭발적인 힘이 느껴지는 이 시대의 뛰어난 산조 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관현악단 조용오 단원이 원장현류 대금산조의 깊이 있는 멋을 선보인다. 
관현악단 권성택 단장이 지휘를, 창극단 고승조 단원이 사회를 맡아 국악 전문가는 물론 일반 관객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친절한 해설을 더한다. 산책하기 좋은 여름밤 가족, 연인, 친구들과 함께 웅장하고 신명난 국악관현악 공연을 통해 한낮의 더위를 날려버릴 수 있을 것이다.
목요국악예술무대는 도민들을 위해 무료로 진행한다.‘코로나19’확산 방지를 위해‘객석 거리두기’로 현장좌석권은 배부하지 않으며, 홈페이지를 통한 사전 온라인 예약(40석)만 가능하다. 공연 관람을 하지 못하는 도민들을 위해 유튜브 또는 ㈜티브로드 방송을 통해 중계(방송)된다.


1. 관현악 ‘얼씨구야 환상곡’(작곡/김백찬)

이 곡은 2009년부터 서울 지하철 환승역 안내방송 배경음악으로 사용돼 대중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으며, 현재는 수도권 전체 지하철에서 환승역 알림음악으로 사용되고 있다. 장구의 자진모리장단에 맞춰 대금과 해금이 주선율을 연주하고 가야금이 반주하는 흥겨운 곡이다.

 

2. 아쟁협주곡“이연(離緣)”(개작 초연, 작곡/이정호)
떠날 이(離), 인연 연(緣)을 조합해 만든 제목이다. 제목 그대로 헤어질 수 밖에 없는 인연에 대해서 노래 한 것인데, 그런 안타까운 이별은 항상 우리의 마음을 아프게 한다. 비단 남녀 간의 사랑뿐만 아니라 부모자식 간에도, 또 친구사이에서도 그 모든 인연에 적용된다.
그것은 사람의 힘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 인연이란 것은 운명과도 같은 것이다. 즉 태어날 때부터 정해진 것으로 나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그렇게 찾아온다. 아무리 다시 되돌려 보려고 해도 시간은 계속 흐르기에, 세상 만물의 이치 속에 인간의 힘은 한 없이 미약하기에 안 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이연은 더 아픈 것이다.
그 아프고 애절한 마음을 아쟁의 구슬픈 선율로 옮겨보았다. 이 이연을 애써 운명이라며 체념한 듯 받아들이는 그 슬픈 마음으로 이 곡을 완성했지만 모순적으로 지금 이 순간 아직까지도 나의 이연을 되돌릴 수 만 있다면 되돌리고 싶다.
다시 돌아갈 수 없다는 걸 알면서도....
이번 무대에서는 부분적으로 곡을 수정했으며, ‘시간’에 대한 의미를 음악적으로 조금 더 부여했다. 단편적으로 타악기로 시계 초 소리 비슷하게 표현되도록 나타냈으며, 원곡 이연(離緣) 헤어질 이, 인연 연 에 시간을 넣음으로, 시간에 따라 어쩔 수 없이 헤어질 수밖에 없는 사람의 연에 대해 추가적으로 담아냈다.

3. 거문고독주곡“만추금”(구성/이태백, 편곡/윤화중)
이태백 교수가 개인적으로 연주한 철가야금 ‘중모리, 살풀이’를 윤화중 교수가 채보해 거문고에 맞게 작·편곡한 곡으로, 한 배가 빠른 철가야금 원곡을 거문고로 옮길 때는 여유 있게 만들었다. 곡이 완성된 때가 늦가을 이었고, 곡의 정서와도 맞는 듯 해 ‘만추금’ 이라 이름 붙였다. 시김새가 많고 섬세해 장고 보다는 징으로 반주한다.

 

4. 피리협주곡 “창부타령” (작곡/박범훈)
창부타령은 원래 서울, 경기지역 무가(巫歌)에서 광대귀신을 불러서 노는 소리였으나 이후 민요로 불리고 있는 곡으로 서울, 경기지역 피리의 독특한 선율과 음색이 잘 나타나고 특히 다양한 전조와 변청가락을 통해 재미를 더한 곡이다.

5. 대금 협주곡 “원장현류 대금산조” (작곡/이화동, 대금/조용오)
원장현류 대금산조는 한일섭의 음악적 영향과 원장현의 풍부한 음악적 토대로 해 만들어진 가락으로 대금의 저음이 유창한점이 일색이고 잔잔한 선율에서 폭발적인 힘이 느껴지는 이 시대의 뛰어난 산조중의 하나이다.

-공연예약 : 국악원 홈페이지(kukakwon.jb.go.kr) (8세 이상 입장 가능)
-예약문의 : 063-290-5534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