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 상운리 고분군, 지정문화재 가치 충분
상태바
완주 상운리 고분군, 지정문화재 가치 충분
  • 성영열 기자
  • 승인 2021.11.11 18: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완주군청 대회의실서 공동학술대회 개최
도 지정문화재 역사적·학술적 가치 충분
소재윤 실장, 3단계 접근 방향 제시 등 논의

 

완주군 상운리 고분군은 대한민국 역사 전개상 마한 문화를 대표하는 ‘아이콘’이라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됐다.
또 지정문화재의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충분한 만큼 핵심지역을 중심으로 ‘도지정문화재 지정’과 기초조사를 실시하고, 중장기적으로 국가지정문화재로의 전환을 검토해 볼만 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승옥 전북대 교수는 11일 완주군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전북 마한의 시작을 알리다’ 공동학술대회에서 ‘완주 상운리 마한 분구묘의 특징과 학사적 의의’에 대한 기조강연에 나섰다.
김 교수는 상운리유적 분구묘와 관련해 ▲마한 역사의 성립과 형성, 발전을 모두 담고 있는 분규묘 유적이자 ▲마한 분구묘의 최대와 최고를 자랑하는 유적 ▲마한 동산(動産) 문화의 정수를 체험할 수 있는 유적 ▲마한 소국 중 가장 강력한 ‘철의 왕국’ 중심지였을 가능성 등 여러 성격과 학사적 의미를 강조했다.
김 교수는 “상운리 분구묘는 공간적으로 치밀하게 기획된 공동묘지로, 당시 마한사회의 모든 측면이 압축돼 있는 ‘고고학적 아카이브’이다”며 “좀 더 압축해 표현하면 대한민국 역사 전개상 마한 문화를 대표하는 ‘표지’이자 ‘아이콘’이라 할 수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택구 조선문화유산연구원 원장도 이날 ‘완주 상운리 마한 분구묘의 구조와 특징’이라는 제1 발표를 통해 “상운리 분구묘는 마한의 문화적 전통성을 강하게 유지하고 있던 유적으로, 당시 마한과 백제의 사회정치적 관계를 파악하고 연구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고 의미를 부였다.
이 원장은 “마한의 시작점이자 중심점이었던 전북, 그 안에서도 중심지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완주군, 당시의 위상과 실상을 알려주는 ‘완주 상운리유적’과 ‘상운리 분규모 공원’에 보다 많은 관심과 지원의 손길이 더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소재윤 국립 완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장은 이와 관련, ‘완주 상운리 고분군 보존과 사적 지정 방안 검토’ 주제발표를 통해 “현재까지 조사 결과로 미뤄 지정문화재로 검토되는 데 큰 무리가 없을 만큼 학계에서 학술적 가치는 충분히 인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상운리 고분군에 대한 중장기적인 보존과 지정 검토를 위해 단계별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고분군에 대한 학술적 가치는 분명 현재의 성과로 매우 높지만 관리 가능한 유적의 지형과 유사성격의 유적들을 하나로 묶어 고분군의 역사적 가치를 보다 높게 올릴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소 실장은 이와 관련, 핵심지역을 중심으로 도지정문화재 지정과 기초조사를 실시(1단계)하고, 토지 매입과 국가지정문화제로의 검토와 전환(2단계), 사적 추가 지정을 통한 유적 범위 확대와 조사 범위 확대(3단계) 등 단계별 접근 방법을 검토해 볼만 하다고 말했다.
소 실장은 “완주 상운리 고분군은 전북지역 마한의 정점을 잘 보여주는 유적이자 당시 지배계층의 매장문화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며 “이 지역이 백제가 영역화함에 있어 결정적 자료들을 제공해 주고 있어 지정문화재로서 역사적 학술적으로 충분한 요건을 갖추고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장기재 완주군 학예사는 ‘완주 상운리 고분군 정비와 활용’ 발표에서 “상운리 고분군은 마한 분구묘 사례 중 최대 규모로 밀집된 희소하면서도 중요한 사례”라며 “그동안 수많은 연구 성과에도 정작 유적 현장의 보존관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해 이번 행사가 의미와 가치를 환기시키고 유적 정비와 활용 분야의 시금석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토론에 나선 홍보식 공주대 교수는 “상운리 고분군이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15년 동안 기념물로 지정 관리되지 않고 보존조치 유적으로만 존재한 원인과 배경이 무엇인지 반성하고 문제를 해소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우선 전라북도 기념물로 지정하는 절차가 시급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박정민 전북대 교수는 토론에서 “상운리 유적지는 전북의 마한 문화를 대표하는 곳”이라며 “만경강의 생태와 상운리의 자원을 합친다면 전북에서 강조하는 생태문명을 실현하는 핵심 지역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