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와 소비자는 ‘봉’인가.
상태바
축산농가와 소비자는 ‘봉’인가.
  • 서윤배 기자
  • 승인 2011.07.26 16: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지 소 값이 바닥을 모른 채 추락하고 있지만 정작 소비자 가격은 꿈쩍도 하지 않고 있어 소고기는 여전히 ‘고급음식’일 뿐이다. 이는 중간 유통상들만 배를 불리고 있는 복잡다단한 소고기 유통구조 때문이다.

축산농가와 소비자들은 대정부 차원의 인위적인 소고기 유통구조 구조조정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예를 들어 축산 농가가 550kg짜리 한우 한 마리를 중간매매인에게 400여만원(kg당 7천500원)에 팔았다.

중간매매인은 이 소에 중개비와 운송비, 이윤 등을 포함, 20여만원을 얹어 도축업자에게 420여만원에 넘긴다.

도축업자는 넘겨받은 소 도축을 위해 들어가는 인건비, 각종 세금, 이윤 등을 합쳐 460만원에 정육점에 팔았다.

정육점 역시 도축업자로부터 구입한 소고기에 점포운영비, 인건비와 이윤 등 30%의 마진을 얹어 소비자 또는 식당에 판매했다.

결국 축산농가가 400만원에 출하한 550kg 소 한 마리를 소비자는 600만원을 주고 먹어야 하는 셈이다.

소비자가 치르는 소고기 값 600만원 중 축산농가에게 돌아가는 비용은 400만원. 고작 65%에 불과하다.

나머지 35%(200만원)는 3단계 중간 유통과정에서 붙여진 상인들의 비용과 마진이다. 이는 최소한의 유통구조일 뿐이라는 한다.


도축 한 소고기만을 대량으로 구입해 다시 정육점 또는 기업형슈퍼마켓 등으로 유통시키는 중도매인을 거칠 경우 5% 마진이 추가돼 소고기 값은 625만원으로 더욱 비싸진다.

특히 정육점이나 대형마트 등 소매 단계에서 추가되는 비용과 이윤은 30%에 육박한다.

소고기 유통업자들의 이윤이 증가함에 따라 유통비용이 상승, 소고기 가격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담은 가중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로 인해 소고기 소비가 줄고, 결국 소고기 가격은 더욱 하락되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밖에 없다.

이 과정에서 부산물 등을 제외할 경우 소매업자가 판매하는 소고기 양이 출하 당시 구입한 소의 무게보다 줄기 때문에 가격이 상승하는 요인도 있다.

하지만 이런 부분을 고려한다고 해도 여러 단계의 유통과정을 거치면서 불필요한 마진이 포함, 소고기 소비자 가격이 크게 상승되는 것이 사실이다.

유통 비용이나 마진 등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고, 유통과정 역시 다양하고 복잡하다보니 소고기 비용과 마진 역시 천차만별이다. 소고기 유통 구조 개선을 위한 정부의 대책이 나와야 한다.
?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