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의 해결책, 농촌에 있다.
상태바
청년실업의 해결책, 농촌에 있다.
  • 전북연합신문
  • 승인 2012.06.19 09: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십대 태반이 백수라는 ‘이태백’, 그리고 빈둥빈둥 노는 젊은이를 지칭하는 니트족이 100만을 돌파하고 있다. 심각한 상태의 청년 취업난은 우리나라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국제노동기구(ILO)의 발표에 따르면 적어도 2016년 까지는 전 세계의 청년(15~24세) 실업률이 16%대를 유지할 것이라고 전했다. 전 세계적으로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도 심각한 문제인 청년취업 때문에 정부와 관련 부처기관에서 많은 해결책을 내놓고 있다.

가까운 나라 일본에서도 이와 같은 문제로 많은 고민을 해왔으며 2008년에는 일본 젊은이들 사이에서 “농업에서 희망을 찾아보겠다.”는 움직임이 일기 시작했었다. 2009년 7월에는 젊은 농업인을 위한 잡지인 <애그리즘>이 창간되기도 했었다. 그렇게 농업에 뛰어드는 젊은이의 수는 늘어가는 듯 보였지만 정작 꾸준하지 못하고 다시 줄어들었다. 농업분야 취업에 관심이 있는 젊은이라고 할지라도,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아 실제 취농으로 이어지기에는 많은 어려움을 겪었던 것이다.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정부는 올해부터 45세 미만으로 농업을 새로 시작하는 사람에게 7년간 최대 한화로 약 1억 5천만 원을 지원하는 제도를 도입했다. 그러자 지원문의가 쇄도하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일본 정부가 올해 이 취농 지원제도로 8200명의 대상자를 처음 선발할 계획이었으나, 3월 말까지 거의 갑절에 이르는 1만 5000명이 지원을 신청했다고 22일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이 지원제도를 통해 현재 1만 명인 농업인으로 정착하는 젊은이의 수를 연간 2만 명 정도로 끌어올리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한다.

일본의 이러한 지원제도가 있는 것처럼 우리나라에서도 관련 기관에서 여러 가지로 힘쓰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우수한 후계농업경영인의 영농 규모 확대와 경영 개선을 지원하기 위해 ‘우수농업경영인 추가지원 사업’을 시행한다고 23일 밝혔다. 그 사업 규모는 800억 원으로 실습 위주의 품목별 전문 교육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한다. 특히 농식품부 농어촌정책국장은 “병역문제, 교육, 영농 기반 확보 등을 종합하는 체계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해 농고·농대 졸업생을 포함한 우수한 청년 인력들이 후계 농업경영인으로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게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또한 정부는 올해부터 농지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20~30대 농업인을 선정하여 농지를 우선 지원한다. 한국농어촌공사의 농지은행이 보유한 농지 또는 임대를 위탁받은 농지를 장기임대(5~10년)하거나, 농지 매입자금을 저리로 융자하는 방식이다. 지원 대상으로 선정되면 희망지역, 재배작목, 규모 등 각자의 영농계획에 맞게 5년 동안 우선지원 받게 된다.

이처럼 청년 취업난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곳에서 노력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조금만 노력한다면 도움을 받아 얼마든지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실시한 한국 농수산대학의 조사에 따르면 농사를 짓는 졸업생의 평균 소득이 6516만 원이며, 이 중 1억 원 이상의 고소득자는 23%에 달한다. 도시근로자 평균 연소득 4809만 원, 100대 기업 직원 평균 연봉 6195만 원과 비교한다면 취업난을 겪는 청년들이 앞으로의 희망은 농촌에서 찾아보는 것 또한 좋은 취업해결책이라고 생각한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신작물개발과 황덕주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