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에겐 희망이 없는가
상태바
소상공인에겐 희망이 없는가
  • 전북연합신문
  • 승인 2012.11.22 21: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상공업에 종사하는 사업주들이 갈수록 장사가 안 돼 먹고살기가 어렵다고 아우성이다. 이런 모습을 보면 마음이 무거워진다.대선후보들마다 경제민주화를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다. ‘골목상권을 보호하겠다’고 공언하고 있다. 그러나 진정 소상공인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깊은 고민의 흔적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런 공약들은 공허한 말뿐이라는 게 소상공인들의 주장이다.창업시장의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대형유통업체들까지 골목상권을 잠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소상공인들의 삶은 더욱 고단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다면 소상공인이 생존할 길은 없을까? 소상공인이 성공하려면 사업주체인 소상공인의 내부혁신과 정부의 외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소상공인의 내부적인 요인으로는 창업을 하기 전 철저한 준비를 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희망 업종에 대해 사전에 많은 자료와 정보를 수집하고 종업원으로도 체험을 해보아야 한다. 자신의 적성에 맞는지, 자신이 잘하는 분야인지 알아본 다음 창업해도 늦지 않을 것이다. 다음으로 소상공인들의 경영마인드 혁신이 필요하다. 시장을 운영하고 이끌어가는 주체들의 경영마인드 변화 없이는 성공하기 어렵다. 소비의 행태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현 시대에서는 과거의 운영방식을 답습해서는 안 된다. 특히 노력 없이 소극적으로 정부가 모든 것을 해주기만을 기다려서는 실패하기 십상이다. 또 시장의 통합 이미지를 만들어 브랜드화해야 한다. 최근에는 지방자치단체가 그 지역의 생산품을 주민 또는 소상공인과 함께 특산품 통합 이미지 제고를 통해 매출을 신장시키는 사례가 늘고 있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뒤따라야 한다. 정부는 법·제도적으로 소상공인이 자립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줘야 한다. 우선 정부가 해야 할 일은 상생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창업도 고용창출의 한 부분으로 인식해 정부가 개인의 창업 역량평가 시스템을 마련하고, 그에 적합한 맞춤 교육 시스템을 만들 필요가 있다. 이밖에도 창업 역량평가를 기반으로 창업상담-교육훈련-창업지원 및 사후관리 서비스를 구축해야 한다. 소상공인들의 설자리가 갈수록 좁아지고 있다. 참으로 어려운 시기이다. 경제주체들이 조화를 통해 상생하며 소상공인이 자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게 시급하다. 소상공인은 자신의 전 자산을 투자해서 창업을 한다. 실패하면 소상공인 사업주 한 명만 타격을 입는 것이 아니다. 부양가족 전체가 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국가적으로도 하나의 경제주체축이 무너지게 되는 셈이다. 소상공인은 경제주체이자 한편으로는 소비자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대형유통업체들이 대부분 주요 골목상권과 재래시장 인근에 SSM을 출점시키면서 소상공인들의 피해는 더욱 커지고 있다. 때문에 골목 구멍가게 등을 운영하던 소상공인들은 터전을 대기업에 내주고 밀려나거나 아예 가게를 접고 다른 일거리를 찾을 수 밖에 없게 됐다. 실제 중소기업청이 최근 전국 소상공인 1만69명을 조사한 결과 월 순이익이 100만원에도 미치지 못한 중소업자들이 절반이 넘었다. 소상공인이 살아야 서민경제가 산다. 진정 소상공인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를 깊이 고민해야한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