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혁신도시 정주기반 마련 '집중'
상태바
전주시, 혁신도시 정주기반 마련 '집중'
  • 한종수 기자
  • 승인 2014.04.08 18: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빠르게 변모하고 있는 혁신도시 성공적 안착을 위해 전주시가 정주여건 전반적인 분야에 대한 점검을 실시했다.
 

8일 김송일 부시장을 비롯한 도시재생사업단장, 신도시사업과장과 TF단원 19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2차 혁신도시 정주여건 조성 TF단 회의를 개최, 대중교통, 상·하수도 요금, 생활폐기물 처리, 인근 효자로 및 정여립로 추진상황, 의료 대책, 공공시설, 이주정착지원 등을 점검한 것.

 

이날 회의는 제1차 회의시 점검사항 중 이전기관 및 입주민들이 계속적으로 불편사항을 제시한 대중교통 노선 확충 및 택시요금 불법행위와 기사들의 친절 서비스, 상하수도 요금 체계에 대해 중점 논의됐다.
먼저 대중교통 해결방법으로 회차지를 혁신도시 내로 이전하는 방향이 모색됐다.
 

또 택시회사 불법행위에 대한 처분과 병행해 회사 및 조합 내부적으로 규제 할 수 있도록 계도를 유도, 택시이용객의 불편을 최소화 추진계획을 밝혔다.
 

혁신도시내 급수구역과 전주·완주 행정구역 상이에 따른 상하수도 요금체계와 관련해서는 상수도 요금은 상수도 원수비용 및 유량계 설치 등 완주군과 합의를 완료한 바 있다.

 

하수도 요금은 전주시와 완주군 조정사항에 대한 추후 원만한 해결 방향 및 수질복원센타가 준공되기 전 조정안을 마련키로 했다.
 

공공시설 설치에 대해서는 효자4동 분동과 맞물려 즉시 추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사전에 혁신도시 민원센터(효자4동·동산동) 운영 철저와 응급대책 홍보 등이 제시됐다.
 

이외 어린이집인가현황, 풍남학사 이용지원, 주말농장 등 다양한 정주여건 지원, 1사1촌 자매결연, 농촌진흥청 및 산하 이전기관 이전시 사전 인력지원도 논의됐다.
 

회의를 주관한 전주시장 대행 김송일 부시장은 이전기관이 지역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해당부서 중점적 홍보를 추진과 공공시설 설치시 문화수준까지 높인 품격 있는 정주여건을 마련토록 TF단원들에게 주문했다.
 

한편 전북혁신도시 12개 이전기관 가운데 2013년 지방행정연수원, 대한지적공사가 입주를 마쳤으며, 올해는 4개 기관(한국전기안전공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수산대학), 2015년에는 6개 기관(국민연금공단,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국립식량과학원, 국립축산과학원,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한국식품연구원)이 연차별로 입주할 예정이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