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조기치료로 자살예방해야
상태바
우울증 조기치료로 자살예방해야
  • 김 설
  • 승인 2016.06.26 13: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창경찰서 모양지구대 순경 김 설

‘(띵동!)자해, 자살시도’. 지구대에 근무 하다보면 다양한 신고가 접수되지만 자살 신고가 들어올 때면 가슴이 철렁한다. 현재 경찰은 신속한 출동으로 자살우려자 수색과 구호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그러나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를 11년 째 유지 중인 우리나라에서 실질적으로 자살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예방에도 힘을 써야한다.

자살률 증가는 곧 우울증의 증가를 의미한다. 우울증 환자의 15%는 자살을 시도하고 자살자의 80%가 우울증을 앓은 것으로 추산된다. 그렇다면 우울증의 원인은 무엇일까? 우울증을 일으키는 주된 심리적 원인은 상실과 스트레스다. 현대사회는 우울증을 만들어내는 공장이다. 각종 사회문제들(비정규직 증가, 소득 격차로 인한 양극화, 청년 실업, 어릴적부터 겪게 되는 성적 서열화, 치솟는 집값, 복지부족 등)은 현대인들에게 기대와 현실 간의 괴리로 인한 상실감을 안겨준다. 이러한 상실감은 곧 절망·우울감으로 바뀌고 마지막 탈출구로 자살을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2011년 정신질환 실태조사에 따르면 한국인 4명 중 1명(24.7%)이 한 번 이상 우울증이나 공황장애 등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했다. 하지만 문제가 발생했을 때 상담·치료를 받은 경우는 11%에 그쳤다. 이렇듯 정신건강에 문제가 생겨도 병원에 가기를 주저하는 이유는 사회 전반에 오해와 차별이 만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의지로 극복할 수 있다’거나 ‘정신질환 진료는 기록이 남아 취업 등에 불이익이 된다’는 것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우울증은 뇌의 신경전달물질이 유발하는 질환이므로 약물 치료 등을 받아야 한다. 의무기록은 의료법으로 엄격히 보호되고 있어 환자 본인 이외에는 열람 할 수 없다.

자살의 원인인 정신질환을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면 자살을 예방할 수 있다. 한 해 평균 1만 5천여 명의 자살을 조기 개입으로 막을 수 있다면 이들은 사회의 일원으로서 대한민국에 기여하며 살아갈 것이다. 이제 국가적으로 우울증 치료의 필요성을 적극 홍보하고,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는 법령·제도에 대해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