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수 교수팀 해충방제 특허 상용화 된다
상태바
김재수 교수팀 해충방제 특허 상용화 된다
  • 전광훈 기자
  • 승인 2017.01.15 16: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최초 토양처리형 총채벌레 전문 친환경자재 개발, 팜한농에 이전…2017년 ‘총채싹’ 제품 출시

 


전북대학교 김재수 교수팀이 개발해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신규 살충 활성 미생물 ‘Beauveria bassiana ERL836’ 균주와 해충방제 기술이 LG화학 자회사인 ㈜팜한농에 이전돼 상용화된다.

이 연구는 김재수 교수팀이 2008년부터 미국 버몬트주립대학 곤충학 연구실과 새로운 해충 방제 전략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추진된 것으로, 상용화를 위해 (주)팜한농 연구진과 공동으로 기존 미생물 살충제의 방제활성과 생산 과정의 경제성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새로운 친환경 작물보호제이다.

이 살충활성 미생물인 ‘ERL836’은 2017년부터 ‘총채싹’이라는 제품으로 출시돼 최근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저항성 총채벌레 방제에 상용화된다.

총채벌레 방제 분야는 국내 시장만 500억 원, 세계 시장 1조원에 이를 만큼 큰 시장 규모다.

특히 김 교수팀이 개발한 이 제품은 곤충 큐티클(cuticle·상피)을 통한 미생물 침입과 대사 저해를 통해 저항성 해충 관리를 할 수 있으며, 토양 잔류가 되지 않아 합성 농약의 토양 오염 문제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다.

김 교수팀은 국내 작물 보호제 전문 기업인 ㈜팜한농 연구소에서 10년 가까이 미생물 농약 연구 개발에 힘써 왔으며, 그간 토박이 WP/SC, 엑스텐 등 10여 품목을 개발한 바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살충활성 미생물을 이용한 저항성 해충 방제기술 개발과 유전체 연구를 통해 ‘살충성 미생물인 Beauveria bassiana’의 유전체 분석을 완료했다.

김 교수는 “이 기술은 기존 미생물 살충제의 경제성 문제를 개선하고, 토양 오염까지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제품으로 미생물을 이용한 저항성 해충 관리에 새로운 대안이 될 것”이라며 “2017년 곧바로 제품이 출시돼 상용화되는 만큼 총채 벌레 친환경 시장을 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광훈 기자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