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농촌인력 수급 부족 해소 방안 지원
상태바
전북도, 농촌인력 수급 부족 해소 방안 지원
  • 김현표 기자
  • 승인 2021.05.17 18: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라북도가 영농철을 맞아 인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인력지원 사업을 전방위적으로 추진한다.
전북도는 17일 농촌인력 공급에 중심축 역할을 하고 있는 농촌인력중개센터 30개소 내 313개 반 4920명의 영농작업반 인력풀을 총가동해 인력을 차질 없이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농촌인력중개센터를 통해 도내에 지원된 농촌인력은 3만8221명(13일 기준)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1만6181명) 대비 136%가 증가하는 등 농촌인력 지원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함께, 공공기관과 농협, 자원봉사자, 사회봉사 명령자, 대학생 등을 활용한 농촌일손 돕기를 추진하며 농촌인력중개센터를 통한 인력 중개의 부족한 틈새를 채워나갈 계획이다.
특히, 도내 17개 대학과 지원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대학에 홍보 포스터 500부를 배포해 학생회, 봉사 동아리 등을 통한 대학생 농촌일손 돕기 참여를 유도할 방침이다.
참여 희망 대학생은 자원봉사인 무급과 유급 근로 두 가지 방식으로 참여 가능하며, 자원봉사는 1365자원봉사 포털(www.1365.go.kr)이나 시군의 농정부서에 신청하면 되고, 유급 근로는 희망 지역 농촌인력중개센터에 유선으로 신청하면 된다.
코로나19로 심각한 인력난을 겪고 있는 농가에 내국인 유휴인력을 지원하는 농업분야 긴급인력 파견근로 사업에 예산 1억5000만원(김제, 무주, 고창 428명)을 투입한다.
파견업체가 도시 구직자를 채용한 후 시설원예 등 상시 일자리 보유 농가에 1~ 3개월간 인력을 파견하는 시스템으로 농가 부담 완화 차원에서 농가 부담 파견 수수료, 4대 보험료로 월 36만원을 지원한다.
올해 전북도에 외국인 계절근로자가 464명 배정됐으나, 코로나19로 당장 외국인 계절근로자 입국이 어려워지면서 우선 활용 가능한 방식으로 외국인 근로자 도입을 추진한다.
한시적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에 따라 F-1(방문동거) 등 국내 체류 외국인을 활용해 농가에 인력을 지원해 농번기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가들의 부담을 최소화해 나갈 방침이다.
그 밖에 농가의 외국인 계절근로자 수급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외국인 격리 비용(14일) 일부 지원도 검토 중이다.
최재용 농축산식품국장은 “본격적인 영농철을 맞아 외국인 계절근로자 입국이 어려워지고, 내국인 인력 공급도 여의찮아 농촌에 일손 부족 상황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을 맞고 있다”며 “대학생 등 자원봉사 확대와 외국인 계절근로자 도입 등 우선 활용 가능한 정책을 전방위적으로 활용해 농업인들의 어려움 해소에 최선을 다하겠다”말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