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신년특집 K-스마트 교육으로 학령인구 절벽 막는다
상태바
2022 신년특집 K-스마트 교육으로 학령인구 절벽 막는다
  • 김현표 기자
  • 승인 2022.01.02 19: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북대, 지역대학 문제 극복
‘학사교류’ 뉴노멀 제시 시행
4차 산업혁명신기술 교육 선도
인재 양성·취직 안착 목표 추진

 

앞으로 25년 뒤 국내 대학의 절반 이상이 사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서울 등 수도권의 인구 쏠림현상으로 지방의 학령인구가 급감하면서 지방대의 경쟁력이 떨어져, 문을 닫는 대학들이 속출할 것이라는 관측이다.전북지역 주요 대학교 대부분도 2021년 정원 미달 등 학령인구 절벽이 현실화되고 있다는 의견이다. 이에 도내 대학들은 대책을 찾기 위해 노력해왔다.
 

■대학 간 교류와 4차 산업 신기술 교육으로 학령인구 절벽 대응

전북대학교 김동원 총장은 “학령인구 절벽이 너무 크게 다가오면서 1년 전부터 총장들에게 지방 소멸 위기의식이 생겼다”며 지방 소멸 시대에 거점 대학의 역할에 대해 말한 바 있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입학자원의 고갈 등 지역대학이 가진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전북대는 대학 간의 자원을 교류하며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대학 간 ‘공유’를 주도하고 있다.
대학들의 문호를 활짝 열고 시스템 자체를 공유하는 ‘학사교류’를 대학교육의 뉴노멀로 제시하며 현재 거점국립대 간 시행되고 있는 학점교류를 이끌었다.
전북대를 비롯한 10개 거점국립대 등이 가상캠퍼스(가칭 한국대학교)를 구축해 각 대학의 사이버캠퍼스 시스템을 통합하고, 메타버스를 활용한 가상강의실 검토, 교양강의를 시작으로 전공 강의 확대 등을 제시했다.
군산대의 경우도 ‘2021학년도 영·호남 대학 연계 기업가정신 페스타’에 참가해 학생들의 창업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학생 창업 문화의 확산하는 자리를 만들었다.
남부권창업교육거점대학과 공동 주최해 영호남의 여러 대학이 참여한 이 행사는 지역혁신과 대학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
전주대는 빅데이터 마케팅 GAIQ 자격증 지원과 Maker 체험 개최 등 4차 산업혁명 신기술 교육 선도에 앞장서고 있다.
전주대는 일찍부터 산업혁명 교육에 맞춰 인공지능, 실감미디어, 빅데이터, 드론 등 디지털 교육을 통해 미래 사업에 맞는 인재를 양성에 총력을 기울이는 등 학령인구 절벽에 대응하고 있다.
 
 
■지역 혁신산업 전문인력 양성
전북도와 전북대, 전주대, 원광대, 우석대 등 도내 4개 대학이 학령인구 감소 속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머리를 맞대기도 했다.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RIS) 유치를 위한 협의를 진행하고 지역 활성화 방안을 찾겠다는 구상이다.
이는 스마트 농생명, 미래수송기계, 금융 분야 교육 프로그램 개발, 복수전공 신설 등을 통한 인재 양성과 지역기업 취직 안착을 목표 추진하는 것이다.
전북도와 4개 대학은 2022년도 사업에 기존 사업 내용을 구체화하고, 신재생에너지 분야인 탄소, 수소 관련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해당 분야 기업 R&D, 창업 및 지역기업 육성 등을 포함시킨다는 계획이다.
그간 전문가들은 수도권 집중화 현상으로 좁게는 지방 대학, 넓게는 지방소멸이 우려되고 있는 만큼 지자체, 대학, 기업 간의 산학연 네트워크 구축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하고 조기에 TF를 구성해 대응 및 지속적 소통과 협력이 필요하다고 평했다.
 
 
■해마다 입학생 수가 증가하는 한농대
학령인구 감소로 대학마다 위기지만 국립한국농수산대학 입학생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농어업 변화에 따른 학과 개편과 정착 지원 등이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입학생 증가에 대해 ▲국비 지원 ▲학과 개편 ▲실습환경 및 정착 지원 등을 꼽고 있다.
또한 개교 당시 6개뿐이던 학과를 농어업 변화에 따라 19개로 개편·신설해 농어업 진출 희망자들의 선택 폭을 넓혀주고 정착을 위한 실습 임대농장 제공, 마케팅 교육 등을 졸업 후 연차에 따른 지원이 큰 몫을 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아울러 한농대는 영농기반이 없어도 농어업 의지가 강한 일반인들에게 입학 기회를 부여하는 등 입시제도를 개편해 학령인구 가속화에 대응할 예정이다.
대학 관계자는 “학령인구 감소로 대학마다 어려운 현실이지만 다행히 우린 그렇지 않다”고 밝혔다.
지방 대학과 지자체, 기업·공공기관, 연구소 등 지역사회는 대학 위기는 곧 지방소멸이라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공동 대응에 나서며 정부지원 사업과 지자체 협력사업에서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도내 대학 관계자들은 “폐교로만 내모는 대학 구조조정은 지역 공동화 붕괴 등 여러 부작용을 초래한다”며 “지역 대학의 소멸은 지방소멸 위기에 직면할 수 있기에 지자체와 정부도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대처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