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계고 취업 정책 새롭게 마련돼야 한다
상태바
직업계고 취업 정책 새롭게 마련돼야 한다
  • 전북연합신문
  • 승인 2022.06.30 14: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직업계고 학생들의 취업률이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좋은 고졸 일자리 부족, 고졸자의 사회 정착 및 경력개발의 어려움 등은 직업계고 취업에 지속적으로 제기된 문제였다.
진학률과 진로를 결정하지 못하는 비율이 높아져 직업계고 취업활성화 정책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해 보인다.

실제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직업계고 졸업 후 진로 동향 및 경기지표와의 관계’를 통해 2008년 이후의 직업계고 졸업생의 취업률 등 진로 동향에 대해 분석해 보니 직업계고 취업 활성화 정책으로 취업률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2017년에 50%대까지 이르렀다. 그러나 그 뒤로 하락세로 이어지면서 지난해에는 20%대까지 떨어졌다.
정부의 취업활성화 정책의 영향으로 2010년 18.7%에 그치던 취업률이 2017년 52.4%까지 상승하였으나, 그 후 지속적으로 하락해 2021년 기준 29.2%까지 감소하였다.
반면, 진학률은 2017년에 30.9%로 저점을 찍은 후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2021년에는 40%대까지 올랐다.
2010년 71.3%에 달했던 진학률은 2017년 30.9%까지 떨어졌다가 2021년 44.4%로 증가하는 등 상승추세다.
진학률 상승은 산업의 빠른 변화와 기술 수준의 향상으로 중등 직업교육에서 기초 학습과 고등교육과의 연계를 강조하는 기조와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취업도, 진학도 하지 않은 졸업자 비율은 2008년 8.5%에서 지속적으로 상승해 2018년부터는 20%를 넘었고 2020년에는 29.8%에 달해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난다.
이에 따라, 직업계고 학생의 진로 목표와 요구를 바탕으로 한 진로 정책의 재설계가 절실한 시기이다.
경기지표와 취업률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대졸자 취업률과는 달리 직업계고 취업률은 경기지표와 상관관계가 낮다.
직업계고 취업률은 경기 자체보다는 정부의 고졸 취업 활성화 정책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여지는 대목이다.
또한, 민간부문에서 고졸 채용에 관한 요구가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뜻이기도 하다.
앞으로의 고졸 취업 활성화 정책은 취업의 질 제고와 고졸자의 장기근속 및 그들의 성장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변화가 되어야 할 점이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