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도로망 디지털트윈 위한 표준화·통합운영체계 필요
상태바
국가도로망 디지털트윈 위한 표준화·통합운영체계 필요
  • 서윤배 기자
  • 승인 2023.06.01 18: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견인하려면 국가도로망의 디지털트윈화가 필요하다는 데 이론의 여지는 없었다. 다만 이를 가속화하려면 도로대장을 중심으로 표준화·통합 운영체계에 대한 고민이 선행돼야 하며, 도로법 개정이 시급하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지난달 31일 강대식 의원과 국토교통부가 주최하고 한국도로학회, 한국ITS학회, LX한국국토정보공사가 주관·후원한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대비한 국가도로망 디지털트윈 구축’을 주제로 열린 대토론회에서 도로대장 디지털화에 대한 공감대를 넓히고 구체적 발전방안을 모색했다.
 
이날 주제 발표를 맡은 전문가들은 디지털트윈 기반 국가도로망 구축이 하루 빨리 구축돼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 김봉섭 미래기술혁신센터장, 인천광역시 교통정보운영과 박장빈 ITS담당관은 대구광역시 자율주행 운영지구와 인천광역시 도로교통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로 주제 발표를 맡았다.
 
이어 아주대 오영태 교수가 좌장을 맡은 종합토론에서는 국가도로망의 디지털트윈 구축을 위해 데이터 표준화와 통합운영 관리체계가 필요하다는 데 중론이 모아졌다.
 
서울시립대 박신형 교수는 “디지털화된 도로가 어떤 중요성을 갖느냐는 데이터의 표준화에 달렸다”면서 “정부가 도로대장으로 표준화된 포맷으로 제공한다면 최신정보를 갱신할 수 있어 활용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국가도로망 디지털트윈 구축에 내실을 기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경북도 박동엽 건설도시국장은 “경북은 10년 전 도로대장 전산화를 시작해 겨우 완성했지만 산사태·폭우 발생 시 무용지물이었다”면서“실무에 활용 가능한 디지털트윈화가 되려면 2차원 좌표 중심에서 실시간 교통상황이 반영되는 4차원으로 구축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목적에 맞는 국가도로망 디지털트윈 모델이 구축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한국교통연구원 채찬들 도로정책연구팀장은 주제 발표를 통해 “도로의 디지털화, 더 나아가 디지털트윈 구축에 소요될 막대한 시간·비용 절감을 위해 목적 지향형 모델을 만들어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산컨설턴트 조완형 사장도 “국가도로망의 디지털트윈 완성을 위해 정책·연구·개발 및 서비스 주체를 망라한 융합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면서 “더 나아가 도로를 비롯해 전력, 상하수도, 기상 등 디지털트윈 연합을 통해 국가 인프라 관리와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이를 운영할 전문 인력의 양성과 산·학·연·관의 파견·교류도 필요하다”고 힘을 실었다.
 
국가도로망 디지털트윈 완성을 위한 도로법 개정의 필요성도 재점화됐다.
 
국토부 김상민 디지털도로팀장은 “정부는 2027년까지 단계적 디지털화를 추진하고 전국 단위 디지털 도로대장을 민간에 개방할 계획이다. 이는 도로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도 필요하지만, 정자교 붕괴에서 보듯 안전도 제고를 위해서도 매우 필요한 과제”라며 도로법 개정의 필요성을 피력했다.
 
LX공사 김정렬 사장은 “대한민국은 경부고속도로가 개통된 이후 SOC혁명이 일어나 모든 SOC가 확충되면서 선진국 반열에 올랐다”면서 “도로의 디지털화를 위한 당면 현안은 도로법 개정과 R&D 예산 확보에 있는 만큼 국회가 많은 관심과 지원을 해주십사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