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중견기업 환경 부문 가장 취약    
상태바
중소·중견기업 환경 부문 가장 취약    
  • 전북연합신문
  • 승인 2024.04.03 15: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은 ESG 경영을 실천할 때 환경(E) 부문에서 어려움이 가장 크다고 한다.
환경(E) 부문은 복잡한 환경규제를 제때 파악하기 어렵고, 환경친화적인 시설 및 설비 투자에 많은 비용이 들어 중소기업이 감당할 여력이 없다는 점이다. 

또, 인력난을 겪는 중소기업들이 환경 전문인력을 쉽게 구할 수 없다는 점 등이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의 ESG 경영 종합평점은 고위험 구간을 탈피했으나, 환경(E) 부문과 지배구조(G) 부문은 고위험 수준에 머물러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
환경(E) 부문 중에는 재생에너지 사용량 측정으로 재생에너지 수급이 아직 충분치 못한데다 온실가스 측정 등 대기오염물질 감축에 관한 준비가 미흡한 중소·중견기업들의 어려운 여건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생물다양성 보전 노력도 매우 미흡하다. 생물다양성 보전에 관한 구체적 정보가 부족하고 생태계 온전성의 장기적 가치에 대한 인식 부족 등이 그 원인으로 분석됐다.
이외에 친환경 제품 및 서비스 관리, 재활용 원부자재 사용량 측정, 제품 함유물질 모니터링들도 취약하다. 이유로는 친환경기술 경영에 따른 자금·시설투자 부담 등이 그 원인으로 지목된다.
중소·중견 협력사들은 만성적 인력 부족 및 비용 부담으로 ESG 경영 전담조직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체계적 ESG 실천전략을 수립하고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태반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수도권이 비수도권보다 높다는 것이다. 수도권은 IT·SW개발 등 비제조업 비중이 높은 반면, 비수도권은 자동차부품, 산업용기계, 화학제품 등 탄소·환경규제에 많이 노출된 제조업종이 다수 분포한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EU 환경규제, 공시의무화 등으로 기업들의 어려움이 크다. 기업의 중복부담 해소와 정보신뢰성 제고를 위한 국가차원의 데이터플랫폼 구축 등 수출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기업이 힘을 모아야 할 때이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