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왕도문화유산의 세계유산등재 전략을 들어본다
상태바
백제왕도문화유산의 세계유산등재 전략을 들어본다
  • 박윤근 기자
  • 승인 2012.02.19 16: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7일 익산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등재추진전략 전문가 워크숍 개최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익산역사유적지구>가 공주?부여와 함께 통합 추진되고 있는 상황에서 익산만이 지닌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반영하기 위한 전략 마련에 나선다.
익산시와 전라북도는 지난 17일 ‘익산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 등재추진전략’이라는 주제로 익산공공영상미디어센터에서 전문가 워크숍을 개최했다.

익산시와 전라북도가 주최하고 (재)전북문화재연구원이 주관하는 이번 전문가 워크숍은 <익산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등재추진작업이 지금까지와는 달리 <백제역사유적지구>라는 명칭으로 공주?부여와 통합 추진되기 전에 열리는 행사로 향후 등재추진의 방향과 전략을 검토해 보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됐다.

이번 워크숍은 유기상 익산시 부시장을 비롯해 문화재청과 전라북도와 익산시 그리고 다른 지역의 전문가와 일반 시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허권 한국전통문화학교 초빙교수와 문이화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의 발제와 함께 최완규 익산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등재추진위원장을 좌장으로 하는 종합토론의 순서로 진행됐다.

첫 발제를 맡은 허권 전통문화대학교 교수는 ‘유네스코 세계유산관점에서 본 익산문화유산의 등재전략’이라는 발표에서 백제역사도시의 세계유산 등재 추진은 과거의 세계유산 등재와는 차원과 성격이 다른 새로운 도전이며 익산역사유적지구의 세계유산적 가치는 타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높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허 교수는 “이번 공주, 부여, 익산의 3개 도시를 함께 묶는 방식은 지금까지 전례에 비춰볼 때 그리 흔한 방식이 아니다”며 “앞으로 유산신청 방식에 대한 면밀한 추가검토가 요구된다”고 밝히고 향후 등재추진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지적했다.

이어, 문이화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익산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 등재 추진 현황과 향후 과제’라는 주제로 지금까지 시행해왔던 등재 추진 작업들을 꼼꼼하게 정리했다. 아울러 문이화 연구원은 “향후 공주 부여와의 통합 추진과정에서 <익산역사유적지구>가 지닌 세계유산적 가치를 최대한 살리는 방향으로 통합추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민과 전문가, 행정기관이 노력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번 워크샵을 주관한 (재)전북문화재연구원의 최완규 <익산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등재추진위원장은 “익산역사유적지구의 세계유산 등재추진사업은 단순히 익산의 백제왕도유산을 세계유산에 등재시키는 것만이 목표가 아니라 익산을 ‘품격있는 역사문화도시’로 가꾸어 지속가능한 미래지향적 창조도시로 만드는 것이 궁극적 목표”라고 역설했다.

한편, 전라북도와 익산시는 이번 워크숍 외에도 세계유산 등재추진을 위한 ‘열린토론’과 ‘시민교육’ 등의 프로그램을 마련해 시민들의 관심을 하나로 모으고 민?관?학이 함께 하는 등재추진사업이 되도록 힘쓰고 있다. /익산=박윤근 기자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