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제외 13곳 ‘소멸위험 지역’,  7개 군 ‘소멸 고위험 지역’
상태바
전주시 제외 13곳 ‘소멸위험 지역’,  7개 군 ‘소멸 고위험 지역’
  • 서윤배 기자
  • 승인 2024.02.20 17: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북 기초자치단체 14곳 중 전주시를 제외한 13곳이 소멸위험 지역으로 나타났다. 그중 7개 군은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조사됐다.
임실군이 인구 소멸 위험이 가장 높고, 완주군과 순창군은 전년대비 소멸위험지수가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20일 좋은정치시민넷(대표 손문선)이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3년 주민등록인구를 기준으로 전국 광역시도와 전북자치도 내 시군 ‘지방소멸위험지수’를 분석한 결과 광역시도의 경우 6곳(35.3%)이 ‘소멸위험 지역’으로 분류됐다. 시군구에서는 121곳(53.1%)이 ‘소멸위험 지역’으로 나타났다.
전북 소멸위험 지수는 전국 17개 시도 중 14위로 전년대비 0.03%p 하락했다. 전북 시군 소멸위험지수는 전주시가 ‘주의단계’로 가장 양호한 반면 임실군은 소멸 위험성이 가장 높았다.
도내 14개 시군 중 93%인 13개 시군이 ‘소멸위험 지역’으로 분류됐다. 
이중 익산시를 포함한 군산시, 정읍시, 남원시, 김제시, 완주군 등 6개 시군은 ‘소멸위험진입 단계’, 진안군을 포함한 무주군, 장수군, 임실군, 순창군, 고창군, 부안군 등 7개 군은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나타났다.
전년도에 비해 완주군과 순창군은 소멸위험지수가 개선되고 나머지 시군은 지수가 하락했다. 전국 75개 기초 시중 소멸위험 상위 10위 지역을 살펴보면 전북에서는 김제시, 남원시, 정읍시가 포함됐다. 
시민넷 측은 “수도권 집중 현상과 일자리 부족에 따른 청년 인구의 탈출로 지방 소멸위험 지수는 갈수록 심각한 수준이다.”며 “수도권 진입장벽 강화, 지방기업에 대한 세제혜택, 공공기관 이전, 수도권 대학 정원 축소 및 지방대학 활성화, 지방에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 지방소멸을 막기 위한 정부와 정치권의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미 기울어진 운동장 상황에서 시혜성 정책으로는 지방 소멸을 막기는 불가하다”며 “광역지자체장을 포함한 정책입안자들의 특단의 협약과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지방에서도 인구감소를 상수로 두고 지방 소멸을 늦추거나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아이디어, 시책을 정책화해서 대응책을 마련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