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오락가락 행정 '도마위'
상태바
전주시, 오락가락 행정 '도마위'
  • 한종수 기자
  • 승인 2014.02.17 19: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활폐기물 처리 용역 1년도 안돼 재추진… 예산낭비 초래

전주시가 막대한 예산을 들인 생활폐기물 처리 용역을 1년도 안 돼 재추진해야 할 어처구니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됐다.
이처럼 시가 행정 난맥상을 보이면서 생활폐기물 처리가 늦어지게 됐고, 예산낭비 논란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이 용역은 앞서 지난해 10월 전주시가 1억1700만원을 들여 한국경제 연구소를 통해 생활폐기물 수거방식 결과를 도출시킨 바 있다.
당시 쓰레기를 권역별로 나눠 거둬들이는 방식이 아닌 성상별로 나눠 수거하는 현행 체계가 합리적이라는 용역결과가 나오자 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의 강한 반발을 사게 됐다.
복지환경위는 기자회견을 자청하며 용역결과가 전주시의 입장만을 반영한 것으로 평가, 수용 불가 입장을 분명히 하고 문제점을 조목조목 반박했었다.
이 같은 시의회의 반박에도 전주시는 용역에 별문제가 없어서 용역결과대로 강행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시의회와 대결양상까지 비춰졌다.
때문에 5개월여만에 다시 진행되는 이번 용역을 놓고 관심이 집중되는 부분은 다름 아닌 재추진 배경.
돌연 소관부서인 자원위생과가 아닌 기획예산과를 통해 예산을 세워 재용역을 추진, 시의회의 입맛을 맞추기 위한 제스처가 아닌지 의구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더욱이 용역에 대한 하자보수기간 2년이 아직 많이 남아있는 시점에서 예산낭비 논란을 무릅쓰고 재 용역을 추진하는 전주시의 입장변화를 놓고 의혹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시의회 압박설은 근거 없는 낭설”이라고 밝힌 후 “지난번 용역결과에 대해 의회측이 불신, 이에 좀 더 신뢰성과 객관성 확보 차원에서 시 자체적으로 재용역을 추진하게 됐다”고 일축했다.
한편 전주시는 생활폐기물 처리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전주발전 연구용역비로 1억원의 예산을 세워 오늘 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 승인을 받을 예정이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