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군, 농촌지역 특화형 공동생활 모델 제시
상태바
완주군, 농촌지역 특화형 공동생활 모델 제시
  • 성영열 기자
  • 승인 2014.03.24 19: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로당 중심의 마을공동체성 복원 성과 톡톡

“위대한 도약, 미래 창조도시”를 내걸고 시작된 완주군(군수대행 송수진) 민선 5기가 3달 남은 시점에 그간 추진된 핵심정책중에서도 노인복지 분야의 성과가 특히 괄목할만한 결실을 이뤘다는 평이다. 

급속한 고령화에 세계가 가중된 복지부담으로 휘청되면서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여서 정부와 지자체마다 최대현안이 된 복지문제 해결을 위해 재원을 마련하려는 필사의 노력을 다하고 있으며 해도 해도 끝이 없다는 복지사업의 특성을 꼬집어 ‘복지의 늪’이라는 말까지 생겨날 정도로 오늘날 사회복지는 ‘양날의 검’처럼 불편한 현실이 되고 있다.

그래서 많은 지자체들이 투입효과가 더딘 복지사업보다 SOC간접투자에  집중하게 되는데, 완주군의 남다른 발상이 이대목에서 특히 눈길을 끈다. 완주군은 천편일률적 개발비전으로는 낙후된 지역적 한계성을 극복하기 어렵다는 판단에 철저히 지역맞춤형, 지역특화형의 사업모델과 공동체 개발에 전념했다. 그렇게 해서 시작된 정책이 ‘로컬 푸드’, ‘비즈니스 커뮤니티‘, ’경로당 생활공동체‘운영이다.

시작만 특색이 아니다, 유통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농가수익을 올리고 지역 선순환 경제를 유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로컬푸드는  전국에서 앞다투어 벤치마킹을 오는 혁신적 아이디어로 손꼽히고 있고, 협동조합의 장점과 농촌경제의 특성을 잘 접목한 비즈니스 커뮤니티도 다양한 시책들로 지역경제 활성에 톡톡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중에서도 특히 주민의 만족도가 높았던 사업은 ‘경로당 생활공동체’운영이다.

일회적, 단순반복적인 구호사업을 배제하고 수혜자의 자활능력을 키우는 생산적 복지에 초점을 맞춰 보행 보조기 지원과 이동목욕사업, 자립형 맞춤 일자리와,  경로당 활성화 지원사업, 노인대학 운영 등 취약계층에 대한 복지를 강화하는 한편, 지역부녀회, 노인회 등의 자원봉사 공동체를 유도함으로써 공공부담을 줄이며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는 분석이다.

완주군은 그간 지속적으로 노후 경로당에 대한 보수공사를 추진했으며 거점경로당의 시설 현대화, 냉난방 실비 지원, 공동생활시설 구축 등  경로당이 지역민의 생활중심이 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지원해왔고, 2014년에도 10억원을 추가 투입하여 50여개소의 경로당을 현대적으로 리모델링 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고 있다.

이런 다양한 노력들이 실제로 지난해 보건복지부가 주관한 노인분야 ‘창의혁신 지역복지 우수사례’ 공모평가에서 ‘2013 복지행정 대상’을 수상하였고 ‘참여와 협력을 통한 생산적 노인복지 일자리 사업과 홀몸 어르신 동절기 공동주거생활 운영’ 사례는 경기도의 수범정책과 함께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행정과 정책의 성공은 잘된 기획서와 우수실적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완주군의 사례처럼 추진과정에서 나타나는 소통노력과 주민의 요구를 정책에 반영하는 열린행정의 자세가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전국에서 노인이 가장 살기좋은 곳’을 만들겠다는 완주군의 복지비전이 구체적인 계획과 깨알같은 실천으로 이뤄질지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