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교육감 당선, 민심이다
상태바
진보교육감 당선, 민심이다
  • 전북연합신문
  • 승인 2014.06.10 16: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번 6·4 지방선거 결과, 전국 17개 시·도 중 13개 지역에서 진보성향의 교육감이 당선됐다. 이를 두고 ‘전교조의 압승’이라는 둥 교육감을 임명제로 해야 한다는 선정적인 목소리도 많다. 하지만 이제 이것을 분명한 민의로 받아들이면서 그 속에 담긴 함의를 읽어내는 일이 필요하다. 전북시민들 역시 김승환 진보교육감을 또다시 선택했다.
모든 결과가 진보 진영 후보들의 단일화와 보수 진영 후보들의 난립에 기인한 면도 없진 않다. 또 혹자는 세월호 참사가 빚어낸 이른바 ‘앵그리 맘’들의 감정적 선택의 결과라 설명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렇게만 분석하면 사태를 제대로 보지 못하게 된다. 지난날 진보 교육감을 선택했던 6개 지역의 유권자들은 모두 다시 진보 교육감을 선택했고 그 지역 진보 후보들에 대한 지지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경우가 많았다.
또 보수 후보로 분류되는 4명의 당선자들 중 2명은 비교적 중도 노선을 표방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런 점들을 눈여겨본다면 이번 진보 교육감 약진 현상을 단순히 후보 난립이나 세월호 여파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그러면 이 선거 결과가 담고 있는 함의는 어떤 것일까. 우선 국민들이 교육에 관한 한 현 정부의 지나친 보수 성향에 대해 경고를 보낸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볼 대목이다.
지난해 역사 교과서 파동 때 정부는 진보 진영과 대립각을 세우면서 결과적으로 국민들의 뜻에 반하는 행보를 보여줬다.
그리고 국제중학교 사태는 초등학교에서부터 어린 학생들을 과열 경쟁에 몰아넣는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과 함께 우리 사회의 특권층에 대한 반감을 갖게 했다.
과학고나 외국어고 외에도 학비가 일반고와 세 배 차이가 나는 자율형 사립고가 난립하면서 일반계고등학교가 슬럼화 되는 것 아닌가 하는 불안감이 가중되기도 했다.
그러나 교육에 관한 우리 사회의 각성은 여기서 그친게 아니다. 세월호 참사 이후 국민들은 이제 우리 아이들을 이렇게 가르쳐서는 안 되겠다는 의미를 읽어 낸 듯하다.
대책 없이 통제만 하고 그 통제에 익숙하도록 길들이는 교육은 문제가 있는 것이다.
세월호의 잔영이 어쩌면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미래까지도 덮어버리는 게 아닐까 하는 불안감을 갖게 된다. 학교의 안전 교육은 통제에 따르도록 훈련하는게 아니라 위험사태에 대해 이해함으로써 규제 시스템을 함께 만들어 가는데 있다는 것도 알게 됐다.
학교 폭력 또한 강력한 통제와 규제로만 대처할 것이 아니라 인권 의식을 바탕으로 한 공감 교육속에서 해결해 가야 한다는 뜻이다. 새누리당이나 일부 보수 진영에서는 교육감을 임명제로 해야 하느니 하는 조급증을 확산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번의 이 시민적 선택이 하나의 혁신을 주문하는 것이라면 이 혁신은 반드시 성공해야 한다. 그래야만 우리 사회의 역사는 변증법적으로 발전해 갈 수 있다. 물론 어떤 혁신도 영원히 성공할 수는 없다. 시대가 바뀌면 시민들은 또 다른 선택을 하게 된다.
그러나 시민들의 선택이 바뀌는 것은 시대정신의 변화에 의한 것이어야지 조변석개하는 조급증이나 아집에 휩쓸린 결과여서는 안된다. 조급증과 아집은 무의미한 공회전으로 역사 발전의 동력만 허비하게 될 뿐이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