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민 여성비율 증가, 맞춤형 지원정책 필요
상태바
탈북민 여성비율 증가, 맞춤형 지원정책 필요
  • 신은자
  • 승인 2014.10.08 13: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창경찰서 정보보안계 경사 신 은 자

  최근 한 연구에 의하면 북한 이탈주민의 특징은 여성 비율이 70%를 넘는 데 있다. 탈북자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시기(1948~98)에는 여성  탈북자의 비율이 12.2%에 머물렀고, 이런 성비는 1990년대 중반 이후 본격적인 대량 탈북 시기까지 지속됐다. 그러나 1998년을 기점으로 탈북  여성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고, 2002년에 과반수를 넘긴 이후 2013년도에는 1,516명중 1,145명이 여성 탈북자로 여성비율이 76%를 넘어서고 있다.

 

목숨을 걸고 북한을 탈출해 어렵사리 한국에 온 여성들의 현실은 단순히 북한 출신이라는 점 등과 차별을 이유로 생계를 꾸려가기 힘들다.

정부와 각종 단체의 도움과 지원이 있지만, 사회생활을 하기에는 남한사람들의 편견들로 인해서 사회에 적응하기에 힘들다며 호소하고, 북한보다는 한국에서 생활이 낫지만 고달픈 삶은 여전하다고 전한다.

 

통일부에서 취업 장려금이 지급되고 있으나, 취업을 하기 어려운 탈북자들 에게는 그림의 떡, 실제로 취업 장려금을 받는 탈북자들도 일부이다. 업체에서도 문화적 차이를 이유로 탈북여성을 일자리에 쓰는 것도 꺼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 탈북 주민은 “탈북 여성들 중 일부는 유흥업소를 선택하고 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까닭은 북에 두고 온 가족과 자신의 생활 유지를 위해서이고, 단기간에 돈을 벌 수 있는 수단은 유흥업소계가 유일하다”고 전했다, 뿐만 아니라 여성들이 유흥업소 이외에도 다단계 사업, 마약유통업 등 비공식적이고 불법적인 직업에 종사하여 범죄의 사각 지대에 빠지고 있다는 안타까운 현실이다.

 

남북한의 문화적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초기정착기간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남북한의 문화차이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의 기회를 지원하고, 경제적 자립을 위해서는 탈북여성의 수요와 욕구를 고려하여 구체적인 직업 프로그램을 확장하거나, 직업 교육훈련을 시키고 취업 후 사후관리를 하는 등 맞춤형 정책지원이 강화 되어야 한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