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타깝고 답답한 ‘백농’친일 논란
상태바
안타깝고 답답한 ‘백농’친일 논란
  • 장세진
  • 승인 2015.04.22 13: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세진 한별고 교사·문학평론가

  필자는 이미 ‘채만식문학상 부활돼야’와 ‘이제는 미당 시를 가르치려네’ 같은 칼럼을 발표한 바 있다. 소설가 채만식과 시인 서정주는 사후에도 친일행적으로 곤욕을 치른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 점이 안타깝고 답답하여 그들의 공과(功過)를 있는 그대로 학생들에게 가르치자는 요지의 칼럼이다.

  그런 주장을 한 것은 원조와 아류, 그리고 경중의 차이야 있겠지만 일제침략기에 죽지 않고 살아남았다는 자체가 친일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따지면 살아남은 죄, 침묵한 죄 등 이른바 ‘형이상학의 죄’로부터 자유로울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것 역시 아무렇지 않게 넘길 문제가 아니다.

  우리는 친일파 청산에 실패한 부끄러운 역사를 이어왔다. 오래 전 민예총 공동대표, 민족문학작가회의(현 한국작가회의) 회장을 역임한 신경림 시인의 “친일과 월북이 문학성 평가의 잣대가 되어서는 안된다”는 말에 공감하는 것도 그래서다. “친일을 했다고 미당 서정주의 작품을 폄훼한다면 과거 정지용을 월북 시인이라고 매도했던 것과 다른 게 뭐냐”고 했는데, 맞는 말이다.

  사실이 그렇다. 공산주의가 좋다며 스스로 월북하여 김일성정권에서 부수상까지 지낸 홍명희의 소설 ‘임꺽정’이 불티나게 팔리고, 그를 기리는 문학제가 공개적으로 펼쳐지는 세상이다. ‘지용문학상’?‘백석문학상’ 등이 지자체나 유력 출판사에 의해 운영?시상되고 있는 시대이기도 하다.

  그뿐이 아니다. ‘메밀꽃 필 무렵’의 작가 이효석은 친일행적에도 불구하고 해당 자치단체에서 기념축제를 대대적으로 열어 관광 상품화하고 있는 지경이다. 메밀꽃밭 재현, 생가탐방, 초?중?고 일반부의 전국백일장, 이효석문학상 시상 등이 그것이다.

  최근 벌어진 ‘백농 최규동 선생 친일 논란’이 안타깝고 답답한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교육부는 ‘이달의 스승’ 12명을 선정?발표했다. 그중 첫 번째 주인공인 백농에 대해 시민?사회단체 모임인 ‘역사정의실천연대’가 그의 친일행적을 제기, 신문 등 언론에 보도됐다. 1942년 일제 관변지에 “일왕의 은혜를 죽음으로 갚자”는 요지의 글을 실었다는 것.

  교육부는 발빠르게 “선정자 전체에 대한 철저한 재검증을 실시한 후 대상자를 재확정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백농교육상’ 제정?시상 등 추모사업을 하고 있는 중동중?고등학교총동문회는 즉각 반박했다. 주요 일간지에 “민족교육자 ‘백농 최규동선생’을 친일로 매도하다니…”라는 제목의 5단 통광고를 통해 “백농 선생의 일관된 삶과 민족교육에 대한 열정을 모조리 친일로 매도하는 행위는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천명한 것.
   백농에 대한 다른 면모가 드러난 셈이지만, 교육자에 대한 평가도 앞에서 말한 채만식, 서정주와 다르지 않아야 한다. 보도에 따르면 ‘달랑’ 1편의 글뿐인데, 친일파 어쩌고 하며 교육업적이나 공로 등 생애 자체를 부인하거나 배척해선 안된다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있는 그대로 학생들에게 알리고 가르치는 일이지 매도가 아니다. 말할 나위 없이 그것은 우리가 역사를 제대로 알아야 하고, 정확히 가르쳐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어느새 광복 70년, 침략국 일본도 용서한지 오래인데, 수시로 불거지는 친일논란이 안타깝고 답답하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