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교과서의 조건
상태바
한국사 교과서의 조건
  • 장세진
  • 승인 2015.09.10 15: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별고 교사·문학평론가

  한국사 교과서 발행 체제 여부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교육부가 국정으로 할지 현재의 검정을 유지할지 공청회와 교육과정심의회를 거쳐 9월중 확정한다고 밝혀놓은 상태이기 때문이다. 국정이냐 검정이냐의 문제는 정치권에서도 갑론을박하는 모양새다. 일견 보수와 진보의 대결양상으로 비쳐지기도 한다.

  조선일보(2015.8.19.) 보도에 따르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1만 명을 상대로 한 여론조사에서도 국정 찬성 48.6%, 검정 찬성 48.1%였다. 팽팽하게 의견이 갈린 여론조사 결과인데, 흥미로운 것이 있다. 학부모는 국정, 교사는 검정에 더 많이 찬성한 점이다.

  알다시피 국정은 정부가 집필진을 선정해 교과서를 만드는 것이다. 검정은 출판사가 선정한 필진이 내용을 집필한 후 교육부 검정을 받아 교과서가 된다. 둘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전국구’와 ‘지방방송’이란 점이다. 국정이 전국의 학생들이 하나의 교과서로 같은 내용을 배우는데 반해 검정은 그렇지 못한 것. 출판사별로 기술 내용이 다를 수밖에 없어서다.

  불현듯 한 마디로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이라 할 수 있는 동북공정(東北工程)이 떠오른다. 지금도 틈만 나면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는 일본이 새삼스럽게 다가오기도 한다. 게다가 일본은 우리의 강력한 항의에도 불구하고 끝내 한국 관련 부분이 왜곡된 역사교과서를 채택하고 있다.

  이웃나라의 그런 억지 주장들을 대할 때면 과연 대한민국이 자주 독립국가인가를 반문하게 된다. 자국의 엄연한 역사와 영토가 타국에 의해 시비거리되고 희롱당하니 그러고도 자주 독립국가인가를 되묻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한국사 공부의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이유이다.

  그런데도 국사 과목은 찬밥신세로 전락해버린 적이 있다. 7차교육과정(2003년 8월 시행)에서다.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국사는 사회과목의 일부가 되어버렸다. 초등은 5, 6학년 한 학기씩, 중학교는 2학년 1시간, 3학년 2시간씩 사회과목의 일부로 가르쳤을 뿐이다.

  고교에서 국사는 1학년때 필수과목이지만, 조선후기까지만이었다. 근.현대사 부분은 2학년때부터 선택과목으로 배우게 했다. 글자 그대로 선택과목이어서 선택하지 않으면 배우지 않는 것이다. 그러니까 국사를 전혀 모른 채 대학생이 될 수 있는 것이 제7차교육과정인 셈이다.
   이제는 국정이냐 검정이냐가 새 쟁점이 되었으니 안타까운 일이다. 분명한 건 이념이나 정체성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뿐 역사는 오로지 하나라는 사실이다.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 체제가 바람직한 이유이다. 자국의 역사를 갑과 을이 서로 다르게 알고 있는 건 끔찍한 일이다. 그런 일은 팩션을 표방한 영화나 드라마에서 경험하고, 각자 판단하면 된다.

  국정 한국사 교과서로 하되 다만 과거 독재시절처럼 안보를 빙자하거나 정권유지에 급급한 편향적 시각은 말끔히 털어낸 공정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반대 진영에서 만족스러워하거나 이의를 제기할 수 없을 정도의 기술이라야 한다. 가령 초대 대통령 이승만의 빛과 그늘을 있는 그대로 학생들에게 가르칠 수 있는 한국사 교과서면 된다. 

  대저 역사 없는 민족은 없다. 그것이 침략을 당하고, 내분의 미치고 뒤틀린 역사일망정 그대로 간직되고 분명히 알아야 하는 것이 역사이다. 말할 나위 없이 역사는 지나가버린 과거가 아니라 미래를 여는 열쇠이다. 한국사 교과서는 바로 그 지점에서 출발해야 한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