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정국기상도…권력재편 앞둔 지각변동
상태바
2011년 정국기상도…권력재편 앞둔 지각변동
  • 투데이안
  • 승인 2010.12.31 10: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1년 신묘년(辛卯年) 새해가 밝았다. 꾀가 많고 영리한 동물로 묘사되는 토끼의 해에 정치권에서는 누가 '토끼의 지혜'를 발휘할지 관심을 모은다.

여야 정치권은 이명박 정부 후반기인 집권 4년차를 맞이하며 새로운 권력 형성의 움직임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유력 대권 주자들의 본격적인 세 불리기와 정치판을 변화시키기 위한 합종연횡의 '대 지각변동'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선거 없는 한 해?…2012년 권력재편 앞둔 징검다리 시기

2011년은 지방 선거나 국회의원 선거 같은 큰 선거가 없는 한 해다. 그러나 2012년 4월 총선과 12월 대선으로 가는 징검다리 시기이기 때문에 그 어느 때보다 권력집단의 변화와 쟁투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2012년 권련 재편기를 앞두고 총선과 대선 승리를 위한 대국민 구애작전과 여야간 치열한 대결을 피할 수 없는 형국이다.

1월과 2월에는 이 대통령의 신년사를 통한 국정 비전 발표와 개각 문제 그리고 개헌론 점화가 핵심 이슈가 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이 예산안 강행처리에 반발하며 여당의 독선과 독주를 막겠다는 슬로건을 내걸고 '2단계 장외투쟁'을 예고한 가운데 한미FTA 비준동의안 처리를 놓고 2월 임시국회에서 여야간 한차례 격돌이 예상된다.

4월에는 경기 성남시 분당을과 경남 김해을 등 재보궐선거가 치러져 결과에 따라 여야 정치권에 후폭풍이 거세질 전망이다.

4월 재보선을 기점으로 여당이든 야당이든 쇄신론이 불거지면서 총선 체제 정비를 위한 당내 주류와 비주류간 또는 유력 대권주자들간의 당권 경쟁이 앞당겨질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2011년 하반기 이후부터는 본격적인 총선과 대선 국면이 시작될 전망이다.

여권에서는 유력 주자들간의 경쟁은 물론이려니와 이 대통령과의 차별화 전략에 따라 계파 갈등이 표면화될 것으로 보인다.

10월 재보선 결과에 따라 총선 공천권을 손에 쥐고 있는 당 지도부 구성을 놓고 또 한차례 권력 쟁탈전이 벌어질 수도 있다. 12월 총선 예비후보 등록을 시작으로 여야 정치권은 '사느냐 죽느냐'의 국민 심판대 위에 놓이면서 '총선'이라는 블랙홀 속으로 빨려들어가기 때문이다.

한편 4대강 사업 완공, 경기 침체 여부, 남북관계 변수와 감세 논란 등 정책 이슈에 따른 정치권 논쟁 또한 그 어느 해보다 치열하게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與 '박근혜' 중심축…권력쟁투 본격화

여권의 핵심축은 박근혜 전 대표가 될 전망이다. 박 전 대표는 2010년 말 예산안 강행처리의 격랑속에서도 '한국형 복지' 공청회와 싱크탱크 격인 '국가미래연구원'을 띄우면서 대선가도에 시동을 걸었다.

지난 2007년 한나라당 대선 경선에서 이명박 후보에게 패한 이후 '와신상담'하며 4년을 기다려온 박 전 대표는 보다 더 막강한 힘으로 대권 도전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2011년 여권 정국 운영은 차기 대권 경쟁의 '상수'인 박 전 대표를 중심으로 시간이 흐를수록 미래권력에 대한 '쏠림' 현상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결국 2012년 총선을 앞두고 박 전 대표가 당권 체제를 어떻게 형성시킬 것인지 그 '밑그림'이 여권의 핵심 관심사가 될 것이다.

수도권 기반의 신진세력과 친이 직계 그리고 이상득 전 부의장을 중심으로 한 현재의 여권내 주류 세력들이 어떻게 합종연횡할 지도 관심사다.

상대적으로 몸집이 가벼운 친이 그룹들과 이재오 김문수 오세훈 등 현재 주류 진영의 잠룡들이 모두 연대해 박 전 대표와 대립각을 세울 경우 여권내 권력축에 변화가 올 수도 있다.

특히 현재의 다수 의석과 이 대통령의 정책 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유력한 '도구'를 손에 쥔 주류 세력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또한 미래권력에 취약한 정치 구도상 '박근혜 대세론'이 일찌감치 자리 잡을 경우 '친이계' 내부 세력 갈등만 더욱 첨예화되고 말 것이라는 전망도 가능하다.

◇野 야권연대가 변수…대여 대항마 만들기

2011년 야권의 최대 화두는 '야권 연대'다. 말 그대로 연대를 통해 2012년 정권교체를 이뤄내야 한다는 자기 반성이자 다짐이다.

지난해 6·2 지방선거 당시 16개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한나라당 6곳을 차지하는데 그친 반면, 민주당 7곳, 무소속 2곳을 차지하는 등 '야권 연대'의 힘을 확인했다.

야권에서는 벌써부터 백가쟁명식 연대 방안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민주당 천정배·김근태·이인영 최고위원이 주장하는 '빅 텐트론'은 민주당을 중심으로 국민참여당, 창조한국당, 민주노동당, 진보신당이 단일한 정당으로 2012년 총선과 대선을 치르자는 것이다.

민주당 정동영 최고위원이 구상하는 '공동정부론'은 야 5당과 시민사회가 함께 상설 협의기구를 만들고 여기서 후보 단일화를 이뤄 공동 정부를 구성하자는 것이고, 민란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친노인사인 문성근 씨는 각자의 기득권을 버리고 제 3지대에서 '야권 단일정당'을 만들자고 주장한다.

진보신당 조승수 대표는 민주당을 제외한 진보진영의 통합 정당을 건설하자는 '진보대통합 정당론'을 펴고 있다.

각 정파의 이해관계를 넘어 통합과 연대를 이루기 위해서는 결국 '야권 연대'의 필요성과 절실함이 어떻게 형성되느냐가 핵심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의 손학규 대표와 정동영 천정배 최고위원 그리고 유시민 전 의원, 한명숙 전 총리, 김두관 경남지사 등 야권의 대권 주자들은 2011년 정치 공간을 자신의 입지를 넓히고 여권의 '대항마'로서 자리매김하기 위해 분주히 움직일 것이다.

한켠에서는 '야권 연대' 논의가 진행되면서도 다른 한켠에서는 예비주자들간의 지지율 끌어올리기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될 것이기 때문이다.

여당에 맞설 수 있는 뚜렷한 야권 대선주자가 없는 상황이 야권 연대의 가능성을 높이고, 야권의 단결과 가능성이라는 국민적 관심을 모을 수 있다는 점에서 오히려 야권에 더 좋은 환경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한편 여야 권력 쟁투의 범위가 커지면서 '개헌론'이 커다란 변수로 작용하고 현재의 여야 구도를 뛰어 넘는 커다란 지각 변동이 일어 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와 함께 미국의 '티파티(Tea Party)' '무브 온(Move On)' 운동과 같이 현실정치에 불만을 느끼는 무당층 유권자들이 적극적으로 나서는 한국형 유권자 운동이 발생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2011년 한 해 꿈틀대는 정치권력의 움직임 속에 어느 정치 세력에게 마음을 열고 지지를 보낼 것인지는 결국 국민들의 판단에 달려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