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비대위원들의 계파는?
상태바
한나라 비대위원들의 계파는?
  • 투데이안
  • 승인 2011.05.20 09: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그 나물에 그 밥'이라는 비판과 함께 계파 수장의 대리전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받고 있는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 비대위를 구성하는 비대위원들의 계파는 어떻게 될까?

전체 19명으로 구성된 현 비대위는 친이(이명박) : 친박(박근혜) : 기타 의원이 11 : 6 : 2 으로 구성됐다. 친박계과 중립을 포함한 기타 의원들을 합쳐도 친이계 의원들이 더 많다.

19명의 비대위원들은 ▲정의화(비대위원장) ▲이명규(황우여 원내대표 대행) ▲정진섭(이주영 정책위의장 대행) ▲김학송 ▲김성조 ▲원유철 ▲박순자 ▲차명진 ▲김선동 ▲신영수 ▲윤진식 ▲정용화 ▲권영진 ▲나성린 ▲박보환 ▲박영아 ▲신지호 ▲황영철 ▲김태흠 등이다.

친이계 의원들로는 범친이계로 분류되는 정의화 비대위원장과 정진섭 의원, 비례대표의 대표성을 띠고 들어온 나성린 의원, 여성 의원 대표성을 가진 박영아 의원, 강원 지역 대표성을 띤 황영철 의원 등이 있다.

윤진식·신지호 의원도 대표적인 친이계 의원으로 꼽히고, 구체적으로는 친김문수계로 분류되는 원유철차명진 의원도 결국은 친이계다. 또 이 정책위의장 대행으로 참석하는 정진섭 의원과 원외인 정용화 당협위원장도 범친이계로 분류된다.

친박계 의원으로는 친박 중진인 김학송·김성조 의원, 초선의 김선동 의원과 황우여 원내대표 대행인 이명규 원내수석부대표 등이 꼽힌다. 또 범친박계로 정 비대위원장의 비서실장인 박보환 의원, 원외 김태흠 당협위원장 등이 있다.

권영진 의원은 중립으로, 신영수 의원은 친정몽준계로 분류했다.

그러나 이들 중 권영진·박보환·박영아·황영철·박순자·김선동 의원은 4·27 재보선 참패가 불러온 쇄신 바람을 타고 지난 11일 발족한 '새로운 한나라' 구성원이다. 때문에 계파 분류상 변동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만일 변동이 있다면 친박이나 소장파 보다는 재보선 책임론이 불거진 친이계의 계파 이탈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이 정치권의 전망이다.

현재 비대위의 가장 큰 화두는 크게 3가지로 나뉜다. 당권-대권 분리, 대표-최고위원 분리 선출, 전당원투표제 등이 그것이다.

당권-대권 분리 문제를 두고 친이계는 당권-대권 통합, 또는 현행 대권 도전 1년6개월 전 당대표직 사퇴 규정 완화를 주장하고 있다. 7월에 열릴 조기 전대의 흥행과 리더십 있는 대표 선출을 위해서는 이처럼 해야한다는 주장이다. 친이 실세인 이재오 특임장관이 당권과 대권, 어느 한 쪽으로 마음을 확실하게 굳히지 않은 상태에서 친이계는 분리 규정을 완화하는 편이 더 이롭다는 판단을 하는 것이라는 주장도 설득력이 있다.

그러나 친박계 당권과 대권의 분리 규정을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기본적으로 친박계의 핵심으로 볼 수 있는 박근혜 전 대표가 "원칙"에 따라 당권-대권을 분리한 기존 규정을 지켜야 한다고 밝힌데다, 박 전 대표가 직접 당권에 도전할 의사가 없는 만큼, 당권과 대권을 분리해 별도로 가는 편이 친박계에 더 이롭다. 소장파는 '세력화'한다는 비판을 의식해 전대 후보를 내지 않겠다고 공식 발표했지만 친박계와 입장을 같이 한다.

대표-최고위원 분리 선출 문제에 대해서는 친이, 친박이 모두 현행 유지를 주장하고 있다. 굳이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해서 선출할 이유도, 명분도 없다. 최근 박 전 대표는 대표와 최고위원을 함께 선출하는 현행 집단지도체제 규정을 유지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이 문제에 대해 소장파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분리 선출이 가능할 경우, 소장파의 지도부 입성은 쉬워진다.

전당원투표제 역시 소장파가 강력 주장하고 있지만 친이계과 친박계는 현실성 측면에서 '전당원'은 어렵다고 보고 있다. 다만, 전대가 '계파별 줄서기'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선거인단을 늘려야 한다는 데 있어서는 친이, 친박, 소장파가 공감하고 있다.

이처럼 친이, 친박, 소장파의 의견이 쟁점별로 나뉘는 가운데, 비대위는 지난 19일 공청회를 열고 전당대회 경선 룰과 관련한 당헌·당규 개정안을 논의했지만 의견은 분분했다.

한나라당은 오는 25일 열리는 의원총회에서 의견수렴을 거친 뒤 26~27일 끝장토론을 열고 당헌·당규 개정 여부를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한나라당의 최종 결정이 어느 방향이 될지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