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적 농축산물 수급대책 필요하다
상태바
장기적 농축산물 수급대책 필요하다
  • 전북연합신문
  • 승인 2012.07.04 16: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6월말 기준 배추 한포기 값은 평균 1천300원 정도였다. 재배농가들은 인건비도 빠지지 않는 배추를 시장에 내다 파느니 차라리 갈아엎겠다며 파기해버렸다.

그러다가 7월말에 접어들자 3천500원 선으로 뛰어 올랐다. 하지만 1년 전 7천700원에 거래됐던 것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문제는 소비자들이 이런 ‘널 뛰기’를 거듭하는 농축산물 값을 지켜보는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지자체가 능동적으로 나서야한다. 경제부처나 농수산부가 수급대책을 마련해 지침을 발표할 때쯤이면 이미 늦다. 그래서 지방 서민들이 늦장대책이니 안이한 대응이니 하며 아우성을 치는 것이다. 2010년 11월 김장철을 앞두고 배추 한포기 가격이 1만5천원을 넘자 서울시는 재빨리 중국산 배추 수입을 결정했다. 그리고 시 예산으로 일단 수입한 뒤 싼 값에 들여온 배추를 시중에 공급했다. 가격이 폭등·폭락하면 그때마다 시스템을 가동할 게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확인하고 사전 조율할 수 있는 체제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지난해 시세만 생각하고 배추나 양파 재배에 뛰어 들었던 농가들이 한 둘이 아니다.

이런 흐름을 장기간에 걸쳐 조사하고 대책을 마련할 조직이 있어야 한다. 지역 시장가격을 비교해 소비자에게 수시로 알리면 소비자들이 싼 곳을 찾을 수 있고 또 시장이 스스로 가격을 낮추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 달 전에 비해 배추값이 2배 이상 올랐다거나 고추값이 한 달 사이에 250% 급등했다면 유통구조 뿐만 아니라 재래시장 자체의 가격형성과정에도 문제가 있지 않나 짚어보아야 한다. 무엇보다도 모니터링제를 통해 적절한 가격형성을 유도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