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성장 동력 엔진 달다
상태바
전북 성장 동력 엔진 달다
  • 이대기 기자
  • 승인 2015.11.12 18: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북개발특구 본격 출범, 도 단위는 최초… 농생명·소재부품산업 '탄력'

전북 성장 동력의 주춧돌 역할을 할 전북개발특구가 본격 출범함에 따라 농생명과 소재부품산업의 메카로서 성장할 디딤돌이 마련됐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전북도는 12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최양희 미래부 장관과 송하진지사,김광수 도의장,김차동특구재단이사장, 전주·정읍·완주 관계자 등 2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북테크포럼 및 전북연구개발특구 출범식’을 개최했다.

미래부와 전북도는 이날 기업·연구소·대학 중심의 협력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농생명·탄소 등 첨단소재분야의 기술사업화를 극대화한다는 취지로 ‘농생명·첨단소재산업의 세계일류 융복합 지식허브’를 전북연구개발특구 비전으로 선포했다.
최양희 장관은 산업·농업용 드론을 제작하는 ㈜신드론, 암 진단제 등 방사선 의약품을 생산하는 ㈜카이바이오텍, 신재생에너지 설계 등을 담당하는 ㈜금강ENG 등 3개 연구소기업에 지정서를 교부했다.
이에 따라 전북연구개발특구가 전국에서 5번째이자 도(道) 단위로는 이날 처음 출범하게 됐다.
전북연구개발특구는 전주 사업화 촉진지구(10.2㎢)와 완주 융복합 소재 부품 거점지구(4.5㎢), 정읍 농생명 융합거점지구(1.5㎢) 등 총 3개 지역 16.3㎢(약 480여만평)다.
이 개발특구는 기업-연구소-대학 중심의 협력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농생명과 탄소 등 첨단소재분야의 기술사업화를 극대화에 일조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여기에는 전북대 등 3개 대학, 첨단방사성연구소 등 10개 국립 및 정부출연연구소, 111개 기업부설연구소가 참여한다.
이 특구의 연구소기업 또는 첨단기술기업으로 지정되면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국세인 소득세 또는 법인세를 3년간 감면받고 추가 2년간은 50% 면제된다.
또 지방세인 취득세면제, 재산세가 7년간 감면되고 추가 3년간 50% 면제받는 혜택이 따른다.
아울러 개발특구로 기능 하는 한 매년 국가로부터 기술사업화 자금 100억원 이상이 지원된다.
창업 등을 위해 이미 조성된 연구개발특구펀드(총 1250억원)와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에 조성된 탄소펀드(총400억원)를 활용할 수 있으며 진입도로 등 기반시설 조성 때 국비 50%를 보조받을 수 있다.
전북특구 지정으로 생산유발 7조원, 고용유발 2만명, 신규기업 300여개의 집적화로 전북 산업구조의 고도화는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가 기대된다고 도는 설명했다.
송하진 지사는“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은 대한민국의 농생명과 탄소산업에 새로운 과학 산업의 혁명을 일으킬 것이며, 오늘 출범을 계기로 정체된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어 ‘한국 속의 한국, 생동하는 전북’을 만들어 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