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에코시티 대형마트 부지 뜨거운 감자
상태바
전주 에코시티 대형마트 부지 뜨거운 감자
  • 서윤배 기자
  • 승인 2016.01.12 18: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발이 본격화되고 있는 전주 에코시티 중심상업 용지에 대형마트 입점문제가 뜨거운 감자로 부상하고 있다.
여러 가지 상황을 감안할 때 에코시티에 대형마트가 입점이 불가피 하지만 소상공인들의 반발을 인식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형국이 연출되고 있는 것.

전주시는 에코시티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면서 공동주택용지 1블록 맞은 편 상업 지구에 2만2천㎡ 규모의 마트 부지를 조성했으며 다국적 대형 할인마트인 코스트코가 시행사인 에코시티와 입점을 위해 수차례 물밑접촉을 해오고 있다.
전북혁신도시와는 달리 에코시티에는 대형마트 입점을 규제한다는 규정이 없는 데다 코스트코와 접촉사실이 사업초기단계부터 소문이 퍼지면서 이곳 아파트 분양자들 사이에서는 에코시티에 코스트코 입점이 이미 기정사실로 굳어져 있는 상태.
다만 이곳 감정 금액이 600억 원 이상으로 평가되면서 코스트코와 부지 가격문제를 놓고 입점이 무산될 가능성도 있지만 신세계와 롯데같은 대형 할인마트를 운영하고 있는 대기업들도 에코시티에 뜨거운 관심을 보이며 접촉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항공대 이전을 위한 보상비용만도 400억 원에 달하는 데다 공사비도 최소 1천 억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개발비용 마련이 시급해지고 있어 상업용지 매각이 에코시티 개발의 주요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허가권한을 가진 전주시가 소상공인들의 반발을 인식, 대형마트 입점은 절대 불가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대형마트 입점이 실제 성사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전주시도 굳이 코스토코가 아니라도 인구 3만명 이상인 에코시티에 대형마트가 하나쯤은 필요하다는데는 공감하고 있지만 소상공인들의 생존을 위해 대형마트 입점은 안된다는 입장이다.
또 정작 입점이 추진된다 해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단계에서 소상공인들의 반발에 부딪쳐 입점이 허가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다만 항공대 이전을 위한 사업비 마련을 위해 차선책으로 대형 아울렛 매장 입점을 검토하고 있지만 사업성이 없어 매수자를 찾기도 어려운 데다 의류판매 소상공인들의 반발을 사는 것은 마찬가지여서 실효성은 없을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전주시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고민을 거듭하고 있는 사이에 금융권의 대출심사 강화로 에코시티 개발 사업비용 마련을 위해 이 곳 상업용지 매각이 갈수록 시급해지고 있는 데다 대형마트가 들어설 것으로 예상하고 아파트를 분양받은 예비 입주자들의 집단 반발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