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값 하락세 지속 '특단의 대책' 없나
상태바
쌀값 하락세 지속 '특단의 대책' 없나
  • 서윤배 기자
  • 승인 2016.01.17 18: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 중장기 수급안정대책에도 산지 가격 '요지부동'

새해에 들어서도 쌀값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어 추가시장 격리 등 정부가 단기 쌀대책을 서둘러 내놓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통계청에 따르면 5일 현재 산지 쌀값이 10일전보다 0.5% 하락한 14만6,560원(80Kg)으로 작년 같은 일자보다 10.2%(1만 6720원) 낮은 수준을 보이며 지난해 보다 하락률이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지난해부터 지속된 하락세가 해를 넘겨서도 이어지는 형국이다. 2015년산 산지 쌀값은 가격조사가 시작된 지난해 10월 5일자(16만3,396원)을 정점으로 단 한번의 반등 없이 내림세를 지속하고 있다.
원인은 지난해 벼 작황이 좋고, 정부 재고량도 많아 지난해 쌀의 역계절마진폭이 4.5%로 높아 RPC 등의 매입 수요가 위축되는 등 쌀 가격을 하락시키는 요인 등이 겹쳐 정부의 20만 톤 추가 매입 조치에도 불구하고 작년 수확기 가격이 낮게 형성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부에서는 여전히 추가 격리조치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지 않고 있어 현장을 중심으로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한 쌀 농가주는 “이 상태가 계속해서 진행된다면 단경기 때 쌀값은 대폭 떨어질 것”이라면서 “쌀값이 지금보다 더 떨어진다면 농가 불만은 더 커질 것이고, 올해 수확기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정부의 대승적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전했다.
RPC 관계자도 “2월과 3월 안에 정부가 20만 톤 이상 추가 격리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가격 폭락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면서 “아직도 일부 농가와 RPC에서는 벼를 팔지 못하고 있는 상황인데 가격이 떨어진다면 큰 피해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해 12월 31일 적정생산 유도, 수요 확대, 재고 감축 등을 주내용으로 하는 ‘중장기 쌀 수급안정 대책’을 발표했다. 그러나 정부의 이번 대책이 산지 쌀값 반등의 원동력이 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의 쌀대책이 발표되면 산지 쌀값이 반등하는게 일반적인데, 오히려 열흘 전보다 0.5%가 떨어졌기 때문이다.
정부가 현재의 쌀시장 안정에 대한 해범이 아닌, 중단기 해법을 제시하는데 그친 것이 주요인으로 분석했다. 즉 현재의 산지 쌀값 약세를 해결할 만한 단기 대책이 빠졌다는 해석이다.
도내 농민회 관계자는 “쌀시장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정부가 단기적인 쌀 대책을 내놔야 한다”며 “기존 20만t 이외의 수요량 초과분(15만7,000t)에 대한 추가격리조치를 서둘러야 쌀시장이 안정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