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량식품, 이제 지겹지 않으세요?
상태바
불량식품, 이제 지겹지 않으세요?
  • 유은주
  • 승인 2016.05.16 13: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주완산경찰서 화산지구대 경장 유은주

현 정부 들어 4대 사회악 척결이 화두가 되었었고 이제 어느 정도 4대사회악 즉 학교폭력, 가정폭력, 성폭력, 불량식품 등이 제자리를 찾아가고 있다고 할 수도 있겠다. 특히 불량식품에 대한 소비자 신고를 활성화 했고 경찰에서는 대대적인 단속활동을 통하여 엄청난 불량식품 사범을 검거하여 사법처리한바 있다 또한 고의적인 식품사범에 대하여는 부당이득 환수 및 형량 하한 제를 강화하고 식품이력추적관리 단계적 의무화 등을 골자로 하는 식품위생법 재개정으로 많은 효과를 이끌어 내었다

그러나 아직도 불량식품을 사범이 근절되지 않고 계속 발생되고 있고 특히 설 명절을 앞두고 한 번 더 유심히 주의해야 할 시점이 아닌가 싶다. 예를 들어보면 국산과 수입 산을 섞어 판매하는 행위, 허위 친환경 농수산물 인증, 원산지를 허위로 표시하는 행위, 또한 병든 동물, 고기 등을 판매하는 행위와 유독물질을 사용한 식품수입 제조 유통 판매행위와 건강기능 식품을 판단능력이 흐린 노인들에게 판매하는 행위 등 수없이 많다.

이러한 불량식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적극적인 동참이 필요하다.

첫째, 소비자를 현혹하는 광고에 주의해야 한다. 항암이나 성기능 개선 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능이 있다는 무료 상품권이나 무료광고, 강연회를 통해 가짜 건강식품을 판매하는 행위 등에 대하여 주의를 기울여야 되겠고,

둘째, 농·수 축산물을 구입할 때는 원산지를 확인하고 의심이 들 때에는 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 운영하는 이력추적사이트에서 원산지와 등급 등을 조회한 후 구입하는 방법이 있다.

셋째, 내손으로 지키는 우리 부모와 가족의 건강 먹을거리 안전 확립을 위해 작은 풍문이라도 부정불량식품 신고전화 1399나 112. 각 경찰서 지능범죄수사팀으로 신고하는 적극적인 시민의식이 필요하고 신고를 하면 신분보장과 함께 신고보상금까지 지급한다.

이제 갈수록 다양한 먹을거리가 늘어나고 있고 새로운 식품들도 많아지고 있고 그만큼 다양한 곳에서 불량식품이 발생할 소지가 커졌다 우리사회에서 불량식품을 영원히 추방하기 위해서는 우리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소비자 한 사람 한 사람이 불량식품을 만들지 못하도록 감시와 주의를 필요로 한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