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기업 3곳 중 1곳,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 “대응 못 찾아”
상태바
도내기업 3곳 중 1곳,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 “대응 못 찾아”
  • 서윤배 기자
  • 승인 2019.04.08 18: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주상의, 근로시간 단축 애로사항 … 납기일 준수 부담, 인건비 부담
주52시간 근로시간 단축제도가 내년 1월부터 종사자수 50인 이상으로 확대됨에 따라 전북에서도 1400여개가 넘는 기업들이 근로시간 단축이 적용될 방침이다.
이 같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도내 기업 3곳 중 1곳 이상(35.0%)이 근로시간 단축에 뚜렷한 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주상공회의소(회장 이선홍)가 최근 도내 80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근로시간 단축 관련 기업 의견조사’결과 기업 38.8%가 근로시간 단축 시행시 발생하는 애로사항으로 ‘외부 수요 변화에 대한 생산조절 능력 저하’를 가장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음으로 ‘신규인력 채용에 따른 인건비 부담(28.8%)’, ‘노사간 이해관계 충돌(21.2%)’, ‘구인난으로 인한 인력부족(12.6%)’이 뒤를 이었다.
또한 응답기업 57.5%는 근로시간 단축에 대응하기 위해 ‘업무·작업 방식 개선’에 나섰고 이어 ‘유연근로제 활용(26.3%)’, ‘교대제 형태 변경(20.0%)’, ‘정부지원제도 활용(15.0%)’, ‘신규채용(7.5%)’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답했다.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개선책으로는 ‘노사합의 시 연장근로를 추가 허용해야 한다’라는 의견이 52.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탄력근로시간제 기간 확대(50.0%)’, ‘연장근로수당 등 가산 임금 할증률 조정(28.8%)’, ‘처벌 규정 완화(8.8%)’, ‘특례업종 확대(7.5%)’를 꼽았다.
이에 대해 이선홍 회장은 “경기침체로 지역경제가 회복의 모멘텀을 찾지 못하고 침체의 골이 깊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최저시급 인상과 주52시간 근로시간제도 등 노동관련 정책의 변화로 기업경영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고 지적햇다.
그러면서 “내년 1월부터 주52시간 근로시간 제도의 확대에 따른 중소기업의 부담완화 차원에서 정책당국은 한시적 연장근로 추가 허용과 탄력적 근로시간제도 기간 확대 등 기업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