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D-1]외국어, 듣기 시간에 독해 문제 풀지 마세요
상태바
[수능 D-1]외국어, 듣기 시간에 독해 문제 풀지 마세요
  • 투데이안
  • 승인 2010.11.17 16: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하루 남았다.

새로운 것을 준비하기 보다는 그동안 갈고 닦아 온 실력을 점검하고 100% 발휘를 위해 노력할 때다. 수능 당일 시험을 보면서 영역 별로 주의해야 할 핵심 포인트를 소개한다.

◇언어, 찍었던 답 막판에 바꾸지 마라

쉬운 문제를 푸 때 처음에 읽은 답지 ①이 정답이라고 판단되면 함정이라고 생각해 고심한 뒤 다른 답지를 골라 틀리는 경우가 있다.

또 고난도 문항의 경우 ①이나 ⑤를 피해 중간의 ②~④ 중 답을 고르는 경향이 있는데 이렇게 엉뚱하게 머리를 쓰게 되면 오히려 틀릴 수 있다. 정직하게 자신이 답이라고 판단한 답지를 정답으로 체크하자.

문제를 다 풀고 남는 시간에는 '정답을 찍었던' 문제들을 다시 풀게 된다. 이때 답지 번호를 바꿨더니 틀렸다는 수험생이 많다. 답을 바꿀 때 지문에 명확하게 나와 있는 것이 아니면 그대로 두는 것이 낫다.

◇수리, 부등호 방향·쉬운 공식 우습게보지 마라

수학 문제를 풀다 보면 부등식을 필요로 하는 문제들을 많이 접하게 된다. 사실 부등식 그 자체는 어려운 계산이 아니다. 하지만 종종 단순한 실수로 답을 틀리는 경우가 있다.

특히 부등식의 양변에 음수를 곱하거나 나눌 때 또는 양변에 역수를 취할 때 부등호의 방향을 바꿔야 하는데 계산에 급급한 나머지 이를 잊는 경우가 있다. 단순하지만 누구나 범할 수 있는 실수이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쉬운 공식도 우습게보면 안 된다. 예를 들어 log a + log b = log ab는 반드시 알아야 하는 기본 공식이다. 하지만 어처구니없이 로그의 덧셈을 진수의 합으로 계산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다. 예를 들어 log 3 + log 2 = log 6인데 log 3 + log 2 = log 5로 계산하는 것이다. 쉬운 공식이라고 생각 없이 풀어서는 안 된다.

◇외국어, 듣기 평가 집중해야

외국어 영역에서 듣기 문제를 풀 때 집중력이 떨어져 문제를 틀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대화에서 남자에 관한 사항을 묻고 있는지, 여자에 대한 사항을 묻고 있는지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이는 듣기 문제에서 가장 범하기 쉬운 오류로 전혀 엉뚱한 것을 정답으로 고르는 결과를 가져온다. 마찬가지로 선택지에서도 남자에 대한 설명인지 여자에 대한 설명인지를 명확히 하도록 하자.

또 독해 문제의 풀이 시간이 부족할 것을 염려한 나머지 듣기 문제를 푸는 중간 읽기 문제를 푸는 경우가 있다. 이런 행위는 집중력을 떨어뜨려서 결정적인 정답의 단서가 되는 내용을 놓치게 할 수 있다. 듣기 문제를 풀 때는 듣고 푸는 문제에만 집중하도록 하자.

◇사탐, 낯선 통계 자료에 당황하지 마라

최근 통계 자료, 표, 그래프 등을 이용한 문제가 종종 등장한다. 통계 자료를 활용한 문항이 자주 출제되지 않는 심화 선택 과목에서 통계 활용 문제가 출제되면 수험생들은 당황하기 쉽다.

특히 윤리 교과군, 역사 교과군에서는 문항의 소재로 통계 자료를 활용할 때가 드물어 학생들이 문제 푸는 것을 포기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이럴 경우 제시되는 통계 자료는 사실 확인 수준에 그친다. 당황하지 말고 무슨 통계 자료인지를 파악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다.

◇과탐, 고정적이고 습관적인 지식에 속지 마라

물리 과목의 경우 그래프를 분석하는 문제가 많이 출제된다. 이때 습관적으로 봐 왔던 형식으로 가로축과 세로축의 물리량을 인식하고 풀다 보면 틀리기 쉽다. 가로축과 세로축의 물리량을 바꿔서 제시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 파악하고 문제를 푸는 것이 중요하다.

화학 과목의 경우 많이 접해 본 유형의 문제라고 쉽게 생각해 푼다면 함정에 빠질 수 있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다. 주어진 단서까지 꼼꼼히 읽고 문제를 풀어 나가야 한다.

생물의 대부분은 인간의 체내 및 주위 환경에서 일어나는 일반적인 현상을 다룬다. 하지만 간혹 예외적인 현상에 관해 묻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묻는 핵심 내용이 무엇인지 꼼꼼히 따져 풀어야 한다.

지구과학의 경우 일반적으로 지구에서 관측한 달이나 행성에 대해 묻는 문제가 나온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달이나 행성에서 지구를 관측할 때 나타나는 천문 현상을 물을 때도 있다. 이 경우 관측하는 관점이 달라지므로 깊이 있는 사고력과 주의력이 필요하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