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최초 희생자 이세종 열사 추모
상태바
5.18 최초 희생자 이세종 열사 추모
  • 김현표 기자
  • 승인 2024.05.19 16: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44주년 5.18민중항쟁 전북
기념식 개최, 올해 최초 희생자
공식 인정… 민주 영령 기리며
민주화 숭고한 의미 되새겨

 

5·18 민주화운동 전북행사위원회와 전북민중화운동기념사업회가 지난 17일 전북대학교 이세종광장에서 제44주년 5·18민중항쟁 전북기념식과 제44주기 이세종 열사 추모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관영 도지사, 국주영은 도의회 의장, 서거석 교육감, 국회의원, 전주시장, 전북대 부총장, 시민단체 회원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민주주의를 위해 희생한 5·18 민주 영령을 기리고 숭고한 오월 정신을 이어받아 민주적이고 정의로운 사회 구현에 헌신하겠다는 의지를 다짐했다.
올해 행사는 ‘모두의 오월, 하나의 오월’이라는 주제로 기념식과 추모식 외에도, 문화공연,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등이 진행됐으며, 모두 하나 돼 민주화를 향한 숭고한 뜻과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으로 꾸며졌다.
특히 올해는 고(故) 이세종 열사가 계엄군에 의한 최초 희생자로 공식 인정된 해로 그 의미가 크다.
이 열사는 전북대 농과대 2학년이던 1980년 5월 17일 대학 학생회관에서 전두환 퇴진을 요구하는 농성 중 계엄군이 진입한 다음 날 새벽에 학생회관 바닥에 숨진 채 발견됐다.
당시 이 열사가 도피하다가 옥상에서 추락했다고 봤지만, 지난해 12월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이 열사가 계엄군의 구타로 추락 전 이미 심각한 외상을 입었다고 판단, 44년 만에 5·18민주화운동의 첫 희생자로 공식 인정됐다.
심영배 전북위원회 공동위원장은 “이 열사는 ‘추락자’로 긴 세월 역사의 뒤안길에 묻혔으나 결국 ‘계엄군의 폭력에 의한 희생’을 인정받았다”며 “우리 사회가 위기에 처할 때마다 전북도민이 맨 앞에서 짊어지고 싸웠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말했다.
김관영 도지사는 “올해는 전북대 고(故) 이세종 열사가 5·18 민주화운동 최초 희생자임이 인정된 의미 있는 해”라며 “5·18 민주화운동의 참된 의미를 되새기며 이 땅의 민주주의를 위한 선열들의 희생을 잊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편, 5·18민주화운동 제44주년을 맞아 전북 도내에서는 기념식 및 추모식 외에도 학술제, 민주묘지 참배, 전시회, 영화제 등 다양한 행사가 진행된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