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치유농업 산업화 기반 구축
상태바
농진청, 치유농업 산업화 기반 구축
  • 서윤배 기자
  • 승인 2018.04.05 17: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단계 전략 추진… 내일 심포지엄 개최

농촌진흥청이 지친 몸과 마음을 힐링하는 ‘치유농업’ 성장을 위한 2단계 발전전략으로 산업화 구축에 나선다.
2013년 식물·동물·음식·환경(경관) 등 농업·농촌자원을 이용한 건강증진 활동을 ‘치유농업’으로 정의하고 3단계 발전전략을 수립한 바 있다.

3단계 발전전략은 1단계(2013∼2017) 도입, 2단계(2018∼2022) 정착, 3단계(2023∼) 안정적 시행 등 단계별로 수립돼 있다.
지난해까지 추진된 1단계 치유농업 도입을 위한 연구개발 성과로는 치유농업 법률안 작성, 치유농업 전문인력 국가자격제도 설계 및 인력양성 방안 마련, 국내외 치유농업 현황 및 치유농장 사례를 담은 치유농업 총서 발간 등 인프라 구축이다.
이 기간 동안 다양한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건강증진 효과를 입증했으나, 아동부터 노년까지 생애주기별로 맞춤형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체계와 치유효과를 과학적으로 밝혀내는 연구는 확대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산업화 가능성도 치유농장 운영 및 창업모델,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는 수준에 그쳐 다양한 산업체의 요구를 반영하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됐다.
이에 따라 2단계 치유농업 정착을 위해서는 근거법률의 제정, 부처 및 분야별 협력체계 구축, 치유농업 자격제도 시행 및 인력양성, 치유농업 통계 생산 등 인프라를 구축해나갈 계획이다.
또한 국가 및 지역단위 추진체계 확보, 타 부처의 다양한 정책과 제도적 연계를 통해 치유농장을 지원하는 여건을 마련하고 치유농업 산업화를 위한 환경조성 연구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치유농업 산업화 전략 및 기술개발 심포지엄’을 6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고 힐링 열풍과 산업 활성화, 농업활동의 치유적 기능과 연구 사례, 치유농업 기술개발 현황과 산업화 과제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눈다.



주요기사